사회 사회일반

폐원계획 유치원 지난주 10곳 늘어…총 28곳 폐원안내·신청

정부 대책 따른 '휴·폐원 러시'는 없어

지난 한 주 학부모에게 폐원계획을 안내한 사립유치원이 10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지난 한 주 학부모에게 폐원계획을 안내한 사립유치원이 10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지난주 학부모에게 폐원계획을 안내한 사립유치원이 10곳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제로 교육청에 폐원신청을 한 사례는 늘지 않아서 정부의 유치원 공공성 강화 방안 발표 이후 우려됐던 ‘폐원 러시’는 아직 가시화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부는 2일 오후 5시 30분 기준으로 전국에서 28개 사립유치원이 폐원신청서를 내거나 학부모에게 폐원 안내를 하고, 1곳은 원아 모집 중단을 안내했다고 5일 밝혔다. 정부와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맞불’ 성격의 간담회와 토론회를 열기 직전인 지난달 29일과 비교하면 폐원안내를 한 곳은 10곳 증가했으며, 모두 서울지역 사립유치원들로 파악됐다. 대부분 운영악화를 이유로 들어 학부모회의나 학부모설명회, 가정통신문으로 폐원안내를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10곳 모두 정원충족률이 70% 미만인 유치원이어서 서울시교육청은 운영악화에 따른 자연 폐원 검토인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며 “이들 유치원은 원아들을 어떻게 분산 수용할 것인지 계획을 세우고 있다. 폐원 절차와 관련해서는 학부모 3분의 2가 동의해야 한다는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전에 학부모에게 폐원안내를 한 12개 유치원도 인근 유치원에 원아들을 수용할 방안 등을 마련한 상황이다. 교육청에 정식으로 폐원신청서를 냈던 6곳 가운데 2008년부터 휴원 중인 인천의 한 유치원과 올해 3월부터 휴원 중인 충북의 유치원 등 2곳은 지역 교육청이 폐원을 승인했다. 건물 신축공사 때문에 만 3세 원아를 1년간 모집하지 않겠다고 밝힌 경기도의 사립유치원 1곳만 원아모집을 중단키로 했다. 이밖에 서울지역에서는 최근의 사립유치원 비리 사태와 이에 따른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를 이유로 폐원을 계획 중인 곳이 있었지만, 폐원 의사를 철회하고 학부모에게 관련 안내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에 따르면 2015년에는 68곳, 2016년에는 60곳, 지난해에는 71곳의 사립유치원이 문을 닫았다. 최근의 회계비리 사태 이후 정부가 내놓은 공공성 강화 방안을 두고 사립유치원의 반발이 컸던 점을 볼 때, 아직 휴·폐원 러시가 나타나고 있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집단행동에 강경 대응 방침을 수차례 밝힌 데다 학부모 여론이 좋지 않고 한유총 또한 공식적인 집단행동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은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교육계에서는 아직 교육청에 정식으로 신청하거나 학부모에게 안내하지 않았지만 이번 감사결과 실명 공개와 교육부의 유치원 공공성 강화방안 발표 영향으로 폐원을 검토하는 사립유치원이 늘어날 것이라 보고 있다. 특히 사립유치원의 회계 투명성 강화와 비리 유치원의 ‘간판 갈이’를 막기 위함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이른바 ‘박용진 3법’(사립학교법·유아교육법·학교급식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경우 폐원 유치원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