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 42%는 과일·채소에도 알레르기

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과일이나 채소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과일이나 채소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사진=이미지투데이



꽃가루에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 10명 가운데 4명은 과일이나 채소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는 전국 21개 병원을 방문한 5∼64세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 648명을 대상으로 과일이나 채소류에도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구강알레르기 증후군’이 있는지를 조사한 결과, 유병률이 41.7%였다고 8일 밝혔다.

구강알레르기 증후군은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가 꽃가루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식품 항원을 가진 생과일이나 생채소를 먹었을 경우 입술, 입안, 입천장, 혀, 목 안 등이 가렵고 붓는 증상을 보이는 게 특징이다. 대부분 식품에 노출되고 5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일부는 30분 이상 지난 후 증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주로 생으로 먹을 때만 증상이 일어나고, 익혀 먹으면 알레르기 성분이 파괴돼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번 연구에서는 봄철 나무 꽃가루나 가을철 잡초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주로 사과, 복숭아, 키위, 자두, 포도, 토마토 등에 구강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한국 특산물인 토란, 인삼, 들깻잎, 도라지, 쑥갓, 더덕, 칡, 연근 등도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 구강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알레르기 증상은 환자의 43%에서 두드러기와 같은 전신 피부 증상이 동반했으며, 이 중 20%는 기침이나 호흡곤란 같은 호흡기계 증상을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환자의 8.9%는 구강알레르기 증상과 함께 쇼크(아나필락시스)를 동반하기도 했다.

연구를 주도한 최정희 교수(한림대 동탄성심병원)는 “우리나라의 꽃가루 알레르기는 비염, 결막염, 천식 등의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데, 이때 원인 식품에 노출되면 더 심한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으면서 생과일이나 생채소 섭취 후 구강알레르기 증상이 발현됐다면 원인 식품을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논문 제1 저자인 김미애 교수(순천향대병원)는 “알레르기 증상으로 아나필락시스를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자가주사용 응급약물인 에피네프린 등을 상비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홍나라인턴기자 kathy9481@sedaily.com

홍나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