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재명 "관공사 정상화에 저항과 공격이 심하지만 굳건히 추진하겠다"

"같은 공사 관은 900만원, 민간 500만원"…경기건설본부 공사비조사

어린이집·경로당 등을 신축할 때 공공이 발주한 금액이 민간공사가 발주한 금액보다 절반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도건설본부가 지난 2016년부터 올해까지 도내 31개 시군에 요청, 19개 시군에서 보내온 어린이집·경로당·주민센터 건립자료를 분석, 이같이 확인됐다.


건설본부측은 공공기관 건축공사비는 설계가와 계약가를 구분해 작성했고 설명했다. 또 민간 건축공사비는 계약금액 기준이며, 착공신고시 제출된 계약서를 근거로 작성했다고 덧붙였다.

건설본부가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공공이 발주한 어린이집은 3.3㎡당 2016년 748만9,000원, 2017년 937만7,000만원, 2018년 913만5,000원인 반면 민간이 발주한 공사는 2016년 522만9,000원, 2017년 537만1,000원, 2018년 528만원이다.

또 경로당·노인정의 경우 공공 발주는 3.3㎡당 2016년 744마6,000원, 2017년 813만4,000원, 2018년 928만원인 반면 민간발주 공사는 2016년 472만2,000원, 2017년 483만9,000원, 2018년 511만5,000원이다.


주민센터의 경우는 공공 발주가 3.3㎡당 2016년 622만5,000원, 2017년 661만4,000원, 2018년 674만8,000원이다.

관련기사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이와 관련, “놀라운 사실..같은 공사인데 관은 900만원, 민간 500만원”이라고 꼬집었다.

이 지사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관급공사는 발주 즉시 15~20% 떼고 하청, 다시 7~8%씩 떼고 3~4차례 재하청..실공사비는 발주액 50~60%에 불과하다”며 “그러다 보니 입찰전문 페이퍼컴퍼니가 생겨 ‘표준품셈 아닌 표준시장 단가로’ 발주했는데도 성남 서현도서관 입찰경쟁률은 무려 369대1”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한 공사비가 불법수차하도급, 예산낭비, 부정부패의 원인이다”며 “공사비가 적정하면 수차 하도급으로 공사비 40% 이상이 누군가의 불로소득이 되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이 지사는 “공사비 많다고 공사 잘하는 것 아니고, 적다고 부실공사 허용되지 않다”며 “적정공사비 주고, 설계대로 시공하게 엄정감시하면 예산낭비, 불법하도급, 부정부패 다 없앨 수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관공사비 정상화로 절감될 연간 수조원이면 기본소득으로 전국민에게 가구당 수십만원씩 줄 수 있다”며 “관공사 정상화에 저항과 공격이 심하지만, 굳건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나라에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도둑이 너무 많다”며 “공적인 일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면 삶은 극적으로 개선된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촛불혁명의 완성”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