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프로야구 인기 편승...현장 판매 넘어 온라인에서 활개치는 암표 거래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공식판매처 매진 직후

온라인 거래사이트에 재판매 티켓 쏟아져

적게는 2배부터 많게는 5배까지 프리미엄

건강한 스포츠·문화 산업 생태계 저해 요소

‘2018 프로야구 한국시리즈’가 진행 중인 SK행복드림구장 전경./연합뉴스‘2018 프로야구 한국시리즈’가 진행 중인 SK행복드림구장 전경./연합뉴스



정규시즌 우승팀인 두산베어스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SK 와이번스가 맞붙은 ‘2018 프로야구 한국시리즈’의 열기가 매회 달아오르는 가운데 온·오프라인에서의 야구 암표 거래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기존 현장 판매를 넘어 온라인까지 활동 반경을 넓힌 암표상들의 매크로(동일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이용과 사재기로 야구 팬들이 예매 전쟁에서 밀리고 결국 암표를 구매하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다. 특히 온라인 암표에 대한 제재가 없어 이를 방지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한다는 목소리도 터져 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3일 예매가 개시된 한국시리즈의 1~7차전 티켓은 적게는 2배부터 많게는 5배 높은 가격에 온라인 상에서 재판매되고 있다. 한 온라인 거래 사이트에선 정가 5만5,000원인 탁자석 2층은 3연석에 27만원, 정가 9만원인 행복라이브존은 1석에 45만원에 판매 중이었다. 한국 시리즈의 공식 예매처인 인터파크 티켓에서는 현재 7차전까지 전 좌석이 매진된 상태다.

관련기사



한 온라인 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 티켓. /캡처=온라인 티켓거래 사이트 ‘티켓베이’한 온라인 거래 사이트에 올라온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 티켓. /캡처=온라인 티켓거래 사이트 ‘티켓베이’


문제는 온라인 암표 거래의 기승에도 이를 제재할 법적 근거가 마련돼 있지 않다는 데 있다. 경범죄처벌법에 따르면 흥행장·경기장·역·나루터·정류장 등에서 웃돈을 받고 거래를 했을 경우에만 행위자에게 2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한다. 현장에서 적발돼야 처벌이 가능하고 온라인에서는 처벌 규정이 없다는 얘기다.

프로야구 뿐만 아니라 콘서트, 게임, 축구 등 각 분야에서 걸쳐 온라인 암표 거래가 기승을 부리면서 K팝과 게임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은 “온·오프라인에서 암표가 횡행한 지 수년째인데 문체부는 법안과 연구용역 핑계를 대면서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암표 거래 현황이라도 미리 파악해야 대책을 세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