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주간 아파트 시세] 매매·전세가 보합...서울 집값 일단 멈췄다

1215B11 주요지역 매매·전세가 상승률



서울 아파트 시장이 하향 안정세를 찾아가고 있다.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에도 꿈쩍하지 않고 있던 매도자들이 주식시장 불안, 미·중 무역 분쟁, 금리 인상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호가를 낮춰 매물을 내놓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이번 주(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은 모두 전주 대비 0.00% 변동률로 보합세를 보이며 진정국면에 진입했다. 신도시는 중동, 분당, 광교 역세권 아파트 위주로 가격이 오르며 0.04% 상승했고 경기·인천도 0.02% 올랐다.


부동산114가 9·13대책 발표 이후 두 달 간 서울 자치구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노원이 3.30%로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고 이어 구로(2.48%), 관악(2.38%), 성북(2.27%) 등의 순이었다. 그동안 가격 상승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서남·동북권이 크게 오른 것이다. 반면 9·13대책 이전 가격 상승 폭이 가팔랐던 송파(1.13%), 강남(1.09%), 동작(0.94%), 용산(0.52%) 등은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줄었다.

관련기사



이번 주엔 서울 동작(0.07%), 서대문(0.07%), 은평(0.07%), 관악(0.04%), 성북(0.04%), 성동(0.03%)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송파(-0.13%), 강동(-0.02%)은 대단지 재건축 아파트 위주로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송파는 잠실동 주공5단지가 1,500만~2,500만 원, 강동은 둔촌주공이 500만~1,500만 원 정도 떨어졌다. 9·13 대책 이후 매수세가 줄어들자 매도인들이 호가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신도시는 중동(0.11%), 분당(0.09%), 광교(0.07%), 평촌(0.04%), 동탄(0.02%), 일산(0.01%) 순으로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서울과 인접한 지역 위주로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용인(0.10%), 안양(0.09%), 수원(0.07%), 하남(0.07%) 순으로 상승했다. 전세시장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과 경기·인천은 지난주에 이어 0.00% 보합세를 보였다. 신도시는 위례와 동탄 등 신규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하락하며 0.01% 떨어졌다.

서성권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투자자들은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다주택자 규제로 매수를 보류하고 있다”면서 “또 실수요자들은 주택공급규칙 개정으로 무주택자들에게 유리하게 적용되는 분양시장과 올해 연말 발표되는 3기 신도시 공급계획을 기대하고 있어 당분간 거래 없는 소강 상태가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