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기업족쇄부터 풀어라]공장가동률 72% '2년째 최저'...기업 신음소리는 더욱 커져간다

車 등 생산능력 줄고 투자 부진

경기침체 신호 갈수록 뚜렷해져

제조업 공장 가동률이 2년 연속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자동차·해운·조선업 등 산업 구조조정으로 생산능력이 줄었음에도 투자와 생산 부진이 계속된 데 따른 결과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9월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지난해와 같은 72.8%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준으로 1998년(66.8%) 이후 가장 낮은 수치가 2년째 이어지고 있다.


제조업 가동률은 제조업체의 생산설비 이용도를 보여주는 지표다. 생산량을 생산능력으로 나눠서 산출한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낮으면 생산능력에 비해 실제 생산량이 적다는 것으로 ‘공장이 돌지 않고 있다’는 뜻이어서 경기침체의 신호로 인식될 수 있다. 가동률의 기초가 되는 제조업 가동률 지수(1~9월)는 1998년 바닥(89.7)을 치고 이듬해 100.8으로 반등한 뒤 금융위기 때(2009년)를 제외하면 2015년까지 매년 100을 웃돌았지만 2016년에 100 밑으로 떨어진 뒤 지금까지 상승 반전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2016년 이후 계속된 구조조정으로 생산능력이 줄었는데도 가동률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투자 위축과 생산 부진 탓으로 풀이된다. 올해 들어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3월 70.3%로 바닥을 찍은 뒤 8월까지 상승흐름을 나타냈지만 이는 생산량 증가 덕분이 아니라 구조조정으로 생산설비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실제 올해 1~9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9% 하락해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1년 이후 첫 마이너스를 보였다.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생산지수도 1년 전보다 1.5% 감소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5.6%)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올해 들어 심화된 설비투자 위축도 제조업 생산능력 약화를 부추기고 있다. 전년 동기 대비 설비투자 증가율은 올 3월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6~9월 연속 두 자릿수로 감소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최근 들어 월별 가동률 지수가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인 것은 분모인 생산능력이 구조조정 영향으로 줄어든 영향이 크다”며 “가동률 지표가 지속 가능하게 개선하려면 분자인 생산이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