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국 사립유치원 60곳 폐원신청·검토…일주일새 22곳 증가

서울 비리사태 이후 폐원검토 유치원 22곳

시도교육청 비리신고센터 220건 신고접수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전국에서 학부모에게 폐원계획을 알리거나 지역 교육청에 폐원 신청서를 제출한 사립유치원이 지난주보다 20여곳 늘어난 60곳으로 늘었다.

교육부는 12일 오후 5시 30분을 기준으로 전국 60개 사립유치원이 교육청에 폐원을 신청하거나 학부모에게 폐원을 안내했고, 1곳은 원아 모집을 중단했다고 13일 밝혔다. 엿새 전인 6일 같은 시각과 비교하면 22곳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17곳이 유치원알리미나 가정통신문 등을 통해 폐원계획을 알렸고, 실제 폐원신청서를 접수한 유치원은 5곳 더 늘었다.


이 기간 폐원 안내를 한 17곳 중 서울지역 유치원이 7곳으로 가장 많아, 이번 유치원 회계 비리 사태 이후 폐원 의사를 밝힌 곳이 서울에서만 22곳으로 증가하게 됐다. 대부분 원아 모집의 어려움과 경영상의 악화를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교육부는 정원충족률과 감사결과 공개 명단 포함 여부 등을 따졌을 때 이들 유치원 가운데 일부는 이번 회계 비리 사태의 영향으로 폐원을 검토 중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기와 전북에서는 각 3곳, 강원에서는 2곳, 인천과 경북에서는 각 1곳의 유치원이 학부모에게 문을 닫겠다는 뜻을 밝혔다.


엿새 사이 지역 교육청에 폐원신청서를 새로 제출한 곳은 전북 사립유치원 3곳, 경기와 경북의 사립유치원 각 1곳으로 파악된다. 모두 운영악화와 설립자·원장의 개인 사정 등을 이유로 들었다. 강원지역 사립유치원의 경우, 원아 분산수용 계획을 세우고 있다.

관련기사



그러나 11월 초 폐원 승인이 난 유치원은 2곳, 원아 모집 중단을 학부모에게 안내한 유치원은 1곳(경기)으로 기존과 같으며 그 사이 교육청이 폐원을 새로 승인한 곳은 없다. 교육부는 폐원을 검토 중인 유치원의 경우 학부모 3분의 2가 동의해야 한다는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할 방침이다.

최근 울산의 한 유치원은 학부모에게 누리과정 지원금을 정부에서 받아 납부하라고 하는 등 수용 불가능한 조건을 내걸어 원아 수 줄이기에 나섰다. 이처럼 교육계에서는 폐원을 검토하는 사립유치원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이 비리신고센터를 열어 접수한 결과 12일까지 모두 220건(온라인 접수 184건· 전화 접수 36건)의 신고를 받았다고 알렸다. 이 가운데 학원·어린이집 비리 등을 제외하고 유치원 관련 신고만 유형별로 살펴보면 2가지 이상의 비리가 복합적으로 발생했다는 신고가 64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회계 비리 58건, 기타 51건, 급식 비리 12건, 인사 비리 9건이 이었다.

회계 비리 신고 사례로는 친인척을 교원으로 채용해놓고 출근하지 않아도 급여를 지급한 경우, 지급된 교사 급여 일부를 유치원에 다시 내도록 강요한 경우 등이 있다. 또 무자격 원장·원감이 근무하는 경우 등이 인사 비리로 신고됐다.
/이다원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