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2野 보이콧에 국회 본회의 무산

민생법안 차질...여야 책임공방

김성태 "여당은 청와대 출장소"

홍영표 "참담" 文의장 "유감"

15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불참으로 파행되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자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15일 오후 열린 국회 본회의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불참으로 파행되자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자리를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국회가 15일 열기로 했던 본회의가 무산됐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국회 ‘보이콧’을 선언한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정의당이 본회의장에 들어섰지만 의결정족수를 채우지는 못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법과 영유아보육법 등 91건이 상정될 예정이었다. 시급한 민생법안이 본회의 문턱을 넘지 못했지만 여야는 서로에 대한 책임 공방만 벌였다.


이날 본회의는 지난 8월 말 정기국회 전체 일정에 대한 여야 합의에 따라 소집됐지만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조명래 환경부 장관 임명 강행에 대한 청와대의 사과와 공공기관 채용비리 국정조사,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해임을 요구하며 일찍부터 불참을 예고했다. 본회의 직전 여야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국회 정상화를 위한 물밑협상에 나섰지만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청와대 출장소 이상 이하도 아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고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교통공사 채용비리 국정조사만이라도 수용할 것을 주문했지만 거부했다”며 “진정으로 책임감 있는 여당의 모습인지는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참담한 심정”이라며 “채용비리 국정조사는 정부의 전수조사 후 시행해도 되는데 (야당의 주장에는) 합리적 사유가 부족하다”고 잘라 말했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교섭단체 간 합의를 깨려면 천재지변과 같은 사고가 있거나, 아니면 (새로) 합의를 해야 한다”며 “국민 보기에 부끄럽고 의장으로서 유감스럽다”며 고개를 숙였다.


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