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박인서 인천도시공사 사장 인터뷰] "올해도 흑자경영...5년간 부채 3조 줄일것"

2027년까지 단지 개발 등으로

일자리 84만여개 창출효과 기대

1,109세대 구월A3블록 내년 착공

경서 B2블록 장기공공임대도 추진

박인서 인천도시공사 사장



“오는 2022년까지 앞으로 5년간 2조9,000억원의 부채를 단계적으로 줄여 10월 말 현재 219%인 부채비율을 140%대로 낮춰 부채에 대한 우려를 말끔히 해소하는 데 역점을 둘 생각입니다.”

박인서(사진) 인천도시공사 사장은 26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10월 기준 매각실적 1조2,555억원, 회수실적 1조3,60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 2014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 후 5년 연속 흑자경영을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특히 “이 같은 기조로 간다면 5년간 약 3조원에 가까운 부채를 줄이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올해로 창립 15주년을 맞은 인천도시공사는 2003년 출범 이후 총 사업비 23조원 규모의 12개 자체 사업과 9개 특수목적법인(SPC) 출자 사업을 동시 추진해오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 사장은 “단지 개발 사업, 주거환경 개선 사업, 공공주택 건설 사업 등 2003년부터 2027년까지 진행되는 이들 사업이 지역 각 산업 부문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생산유발 효과는 투입되는 사업비의 약 8배에 달하는 184조3,000억원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행의 건설부문 고용유발계수를 적용했을 때 총 84만4,000여개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재임 기간 도시재생 사업이 공사의 주요 업무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포부도 내비쳤다.


그는 “도시는 한번 손을 잘못 대는 순간 두고두고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른 시일 안에 관내 구청장과 만나 도시재생지원센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요청할 계획”이라면서 “개인적으로 도시재생의 모델은 서울 종로구의 창신·숭인지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신혼부부·청년 등의 주거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해 이들이 안심하고 오래 살 수 있는 저렴한 공적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구상도 드러냈다.

박 사장은 “이미 확보된 재정 건전성을 바탕으로 정부와 인천시의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사회초년생을 위한 안정적 주거환경 조성 정책 기조에 부응해 구월A3블록 사업부지에 신혼부부 및 사회초년생, 고령자를 위한 행복주택과 취약계층을 위한 영구임대주택 건설을 추진해 맞춤형 주거복지를 실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구월 A3블록(3만2,108㎡)에 2022년까지 1,109세대(45㎡ 이하·용적률 190%) 공급을 목표로 현재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진행 중이며 내년 안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그는 또 “재정 여건상 사업 추진이 보류됐던 장기공공임대주택 건설 사업은 정부 및 인천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연내 중장기 임대주택 공급계획을 수립해 순차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소개했다.

민선7기 시 정책사항인 공공임대주택 2만호 공급계획 중 공사는 2022년까지 총 6,873호(건설형 2,023호, 매입임대 1,259호, 전세임대 3,600호)를 공급하기로 했다.

아울러 서구 경서 B2블록에 750호 장기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인천연구원과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8월 검암지구 내 공공임대주택 약 2,500호 공급계획을 포함해 국토교통부에 검암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지정 제안을 해놓은 상태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