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南 열차 10년만에 北으로]18일간 공동조사...착공은 제재 면제돼야 가능

경의·평라선 등 2,600km 이동

연내 착공여부, 북미관계가 좌우

G20 한미회담서 물꼬틀지 주목

‘서울↔신의주’ 이정표를 단 우리 열차가 30일 서울역을 떠나 도라산역을 거쳐 월경했다. 우리 열차가 북측 철로를 달리는 것은 10년 만이다. 지난 9월 평양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남북 철도 연결을 위한 공동조사를 위해 북녘으로 향했다. 이번 공동 조사가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연내 철도 연결 착공식과 남북 정상의 재회도 기대된다. 다만 조사가 진행되는 향후 18일 동안 북미관계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기조 변화가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착공은 조사와 마찬가지로 대북 제재 면제 승인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우리 열차는 이날 오전6시39분 서울역 플랫폼을 출발했다. 열차에는 통일·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담당자로 구성된 28명의 현지조사단과 도라산역 환송 행사에 참석하는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부 장관 등이 탑승했다. 운전석에 앉은 김재균 기관사는 “2007년 5월17일 남북 시험운행을 담당한 승무원”이라며 “기관사를 20년 하고 지금은 관리자로 일하고 있는데 중요한 열차다 보니 제가 투입됐다”고 말했다.

0115A14 남북



김 기관사의 설명처럼 이번 열차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두만강까지 가는데다 총 운행 구간이 경의선·동해선 조사와 평라선을 통한 북한 내부 이동 등까지 따지면 2,600㎞에 달한다. 게다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인정했을 정도로 북측의 철도 사정이 워낙 열악해 현지 사정을 아는 베테랑 기관사가 담당해야 한다.


남북은 공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내 철도 연결 착공식도 추진할 방침이다. 관건은 교착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북미관계다. 물밑 대화는 오간다지만 북미 간 공식 회담은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때 이뤄지는 한미 정상회담이 북미 대화의 물꼬를 다시 트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바람이 크다. 반대로 북미관계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연내 착공식은 물론 남북관계도 더는 속도를 내기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철도 공동조사에 대해서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미국이 일단 ‘제재 면제 승인’을 해줬지만 비핵화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제재를 더욱 조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조 장관은 도라산역에서 열린 환송식에서 “정부는 앞으로 남북 두 정상이 합의하신 착공식도 올해 내에 개최할 수 있도록 착실하게 준비해나갈 것”이라면서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국제사회의 지지 속에서 착실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국들과도 긴밀하게 협의를 계속해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도라산=공동취재단·정영현기자 yhchung@sedaily.com

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등이 30일 경기도 파주 도라산역에서 북한 신의주로 가는 남북철도 현지공동조사단을 배웅하고 있다./도라산=사진공동취재단조명균 통일부 장관,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등이 30일 경기도 파주 도라산역에서 북한 신의주로 가는 남북철도 현지공동조사단을 배웅하고 있다./도라산=사진공동취재단


정영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