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쌍용자동차, SKT·글로벌 지도업체 ‘히어’와 자율주행 협력

SKT·글로벌 지도 서비스 회사 Here 사와

자율주행 HD 지도 개발 위해 상호 협력

HD 맵은 자율주행차에 들어갈 필수 기술

국내 최초 양산 적용 목표로 개발에 박차

쌍용차 이태원(가운데) 기술연구소장과 박진효(왼쪽) SKT 기술원장, 이문철 히어 APAC 부사장이 지난 11일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고정밀지도(HD 맵)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쌍용차쌍용차 이태원(가운데) 기술연구소장과 박진효(왼쪽) SKT 기술원장, 이문철 히어 APAC 부사장이 지난 11일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고정밀지도(HD 맵)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쌍용차



쌍용자동차가 자율주행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세계 최고의 독일 완성차가 인수한 글로벌 지도업체 히어(Here)와 협력한다.

쌍용자동차가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술인 고정밀지도(HD Map) 개발을 위해 SK텔레콤 및 글로벌 지도 서비스 회사 히어(Here)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히어는 정교한 디지털 지도를 제작하는 세계적 회사로 독일 자동차 3사인 아우디, BMW, 메르세데스 벤츠가 지분을 인수했다. 쌍용차(003620)는 지난 11일 SKT ICT 기술원에서 열린 MOU에는 이태원 기술연구소장과 SKT ICT 기술원장 박진효 CTO, 이문철 Here APAC 부사장 등 3사 관련 임직원이 참석, HD Map 개발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쌍용차는 HD Map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등 차량 내부 시스템 개발을 △SKT는 HD 맵 실시간 통신 기술과 모듈 소프트웨어 등 개발을 △Here사는 HD 맵 제작과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담당하게 된다. HD 맵은 레이저 측량을 통한 차량용 매핑 시스템을 적용해 레벨 3 수준 자율주행차(현재 양산차는 레벨 2 수준)의 안정적인 주행 및 차량 스스로 차선변경 등을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지도정보다.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활용해 보다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에서도 필수 요소 기술이다.



쌍용차는 이번 MOU를 통해 국내 최초 HD 맵 플랫폼 구축과 자율주행차 양산 적용을 통한 미래 자율주행차 기술 선도를 목표로 개발에 박차를 가해 나갈 예정이다.

쌍용차는 정부의 2020년 레벨 3 자율주행차 부분 상용화 목표에 맞춰 지난 2014년부터 자동차부품연구원과 공동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티볼리 에어 기반의 자율주행 자동차로 국토교통부의 미래형 도로시스템 자율 협력 기술 시연에 참여해 성공적으로 마무리 한 바 있다. 최종식 쌍용차 대표이사는 “HD 맵은 자율주행차의 필수 요소 기술로 이번 MOU를 통해 보다 고도화된 자율주행 시스템 개발을 기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자율주행차는 물론 커넥티드카와 전기자동차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미래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