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지역안전 한층 강화됐다…생활안전·감염병 등 등급 상승

행안부 발표 지역안전지수서 3개분야 등급 상승

3년 연속 특·광역시 최하위에서 중위권으로 도약

부산시가 지역안전지수 발표 이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의 안전수준을 분야별로 계량화한 수치를 말하며 매년 광역시, 도, 기초시, 군, 구 등 5개 유형으로 그룹을 지어 1에서 5까지 등급을 부여한다.

부산시는 행정안전부의 ‘2018년 지역안전지수’ 발표 결과 생활안전, 자연재해, 감염병 3개 분야에서 등급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15년 지역안전지수가 도입된 이래 최고 상승한 것으로 부산시는 지난 3년간 등급 상승 없이 매년 전국 최저수준이었다.

1등급을 받은 생활안전 분야는 인구 만 명당 생활안전 관련 구급건수가 20.97건으로 8개 특·광역시(평균 25.6건)와 대비하여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분야는 생활안전 관련 구급 건수가 주요 등급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활안전 사고 발생이 적으면서도 의료시설을 잘 갖추고 있는 도시임을 확인한 것이라고 부산시는 설명했다.


자연재해 분야는 시와 구·군의 적극적인 지역 안전도 개선노력으로 2016년 최하위 등급에서 2년 만에 2등급으로 수직 상승했다. 감염병 분야는 사망자가 가장 많은 결핵사망자 감축을 위한 조기검진 및 치료 강화 등으로 법정 감염병 사망자가 지난해보다 21.3%(38명)나 대폭 감소하면서 등급이 개선됐다. 교통사고 분야는 사망자 감축은 없었으나 CCTV 개수와 의료기관 수 등이 양호해 2등급을 유지했다.

관련기사



반면 자살과 범죄분야의 경우 자살 사망자(3.8%) 및 5대 범죄 발생건수(9.4%)는 감소했으나 타 지역도 공통적으로 감소해 여전히 인구대비 특·광역시 최고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분야는 발생건수가 크게 증가(18.5%)해 도시건축물 노후화에 따른 화재안전 강화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군 지역안전지수도 원도심권을 중심으로 많이 개선됐다. 특히 전국 최저수준이었던 중구, 서구, 동구, 남구는 2등급 이상 상승했는데 상승 원인으로는 지속적인 컨설팅과 지역 맞춤형 시범사업 등이 꼽힌다.

부산시 관계자는 “그간의 노력으로 올해 지역안전지수가 크게 개선됐지만 여전히 특·광역시 대비 중간수준이고 안전사고 사망자 및 발생건수도 OECD 대비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앞으로 민선 7기에 걸맞은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안전사업을 추진해 실질적으로 시민안전이 강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