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영춘 “수산업 종말위기...내년 수산·해양분야 중점 육성”

내년 '수산업 비전2030' 마련

해양산업 지원 대책도 준비




김영춘(사진) 해양수산부 장관이 “내년에는 수산 분야의 근본적인 혁신을 위한 비전을 마련하고, 해양산업을 본격적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기초를 만드는 것이 두 가지 중점 목표”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해수부 출입기자단과 송년 간담회를 같고 이 같은 내년 사업 구상을 밝혔다. 김 장관은 수산업에 대해 “수산자원과 어촌 인구 감소로 종말 위기”라며 “수산업 비전 2030을 준비함과 동시에 내년부터 2022년까지 실천해 옮기기 위한 단기·중기 실행 계획을 연말까지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직 ‘유아기’ 단계로 평가한 해양산업에 대한 지원 대책도 마련한다. 김 장관은 “해양관광, 해양바이오 등 해양산업을 본격적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제대로 된 기초를 만들어 보는 게 또 하나의 목표”라며 “해양 모태펀드를 신설하고, 전국에 있는 수산창업센터를 해양수산창업센터로 확대 개편해 해양수산 분야 스타트업 육성 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해수부는 또 해양관광 사업 활성화를 위해 전국의 주요 항만도시에 크루즈 전용부두도 건설한다. 경관이 좋은 연안도시에 마리나 시설을 건설하고 마리나 비즈니스 센터를 통해 사업을 지원한다. 내년에는 전남 완도 등에서 해양치유산업 시범사업도 진행한다.

관련기사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해수부 내에 흩어져 있는 해양수산산업분야의 혁신과 과학기술 연구·개발(R&D)의 발전 개선, 창업의 활성화, 기술기업들의 활성화 등 기능을 전담할 ‘해양수산과학기술정책과’도 신설하기로 했다.

지난 4월 발표한 해운재건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환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처방을 내려서 막 수술대에 올려놓은 상황”이라고 비유하며 “내년에는 올해(57척)보다 많은 선박 60척 이상을 건조하는데 2조원 이상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는 내년부터 본격화되는 ‘어촌뉴딜300’사업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어촌뉴딜 300사업은 낙후된 선착장 등 어촌의 필수기반시설을 현대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어촌·어항 통합개발 사업으로 해수부는 2022년까지 총 300개소에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이 주로 대기업에 혜택이 돌아간다면 어촌뉴딜300 같은 소규모 생활밀착형 SOC사업은 지역 건설사와 주민을 위해 예산을 쓰는 지역환원형 투자사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