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의 인적 쇄신은 ‘계파 청산’에 방점이 찍혀 있다. 지난 2016년 공천 파동과 국정농단, 탄핵, 지방선거 참패로 이어진 당의 몰락이 고질적인 편 가르기에서 비롯됐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번 발표를 통해 ‘집안 다툼’을 끝냈다는 대외적인 메시지와 ‘편 가르기, 기득권 안주’를 향한 대내 경고를 동시에 보내 당 분위기를 다잡겠다는 의지를 반영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예상보다 큰 물갈이 규모에 당내에서는 “확실히 주의 환기는 된 것 같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쇄신 대상으로 지목된 당사자들이 크게 반발하며 추가 갈등이 불가피해 보인다. 특히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친박 솎아내기”라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쇄신 규모에 부담과 우려를 표해온 나경원 원내대표도 “강한 유감”을 표하면서 김병준 비대위와 원내 지도부 간 대립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전체 의원 19% 물갈이 ‘긴장감’↑=비대위가 내놓은 ‘당협위원장 배제 명단’은 한국당 현역 의원 112명 중 19%에 달하는 현역을 물갈이 대상에 포함시키며 조직 내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현재 당협위원장이 아닌 김무성·원유철·최경환·김재원·이우현·엄용수 의원은 당협위원장 공모 대상에서 배제하기로 했고 현재 당협위원장인 김정훈·홍문종·권성동·김용태·윤상현·이군현·이종구·황영철·홍일표·홍문표·이완영·이은재·곽상도·윤상직·정종섭 의원은 위원장직을 박탈하기로 했다. 5명 중 1명이 비대위 및 조직강화특별위원회의 ‘살생부’에 이름을 올린 셈이다. 당초 조강특위 외부위원들은 현역 의원 38명 배제안을 제시했지만 비대위 회의에서 그나마 규모가 줄어든 것으로 전해졌다. 대대적인 물갈이에 당은 얼어붙었다.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은 한 의원은 “조강특위가 처음 주장한 게 38명 배제였다는 이야기에 다들 크게 놀랐다”며 “기득권에 안주해오던 안일한 조직문화에 긴장감을 불어넣는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쇄신 규모가 더 컸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체 대상 21명 중 이미 다음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거나(김무성·김정훈·윤상직·정종섭 의원) 검찰에 기소(권성동·김재원·원유철·홍문종 의원), 또는 1심에서 유죄 판결(엄용수·이군현·이완영·이우현·최경환·홍일표·황영철 의원)을 받은 사람이 15명이나 된다. 최창렬 용인대 정치학과 교수는 “현역 21명이라는 규모는 결코 작지 않지만 면면을 뜯어보면 실질적인 변화의 폭은 미미하다”며 “이것을 ‘인적 쇄신’이라고 보기에는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평가했다.
◇친박12명, 비박 9명…계파 갈등 또?=21명을 계파별로 분류하면 친박계 또는 잔류파로 분류되는 의원은 원유철·김정훈·최경환·홍문종·김재원·윤상현·이완영·이우현·곽상도·엄용수·윤상직·정종섭 의원 등 12명이다. 비박계와 복당파는 김무성·권성동·김용태·이종구·이군현·이은재·황영철·홍일표·홍문표 의원 등 9명이다. 특히 친박 핵심인 최경환·홍문종·윤상현 의원과 비박 복당파 좌장인 김무성 의원이 모두 이름을 올렸다. 공천 파동과 국정농단 및 탄핵, 지방선거 참패 등 당 몰락의 큰 원인이 계파 갈등에 있었다는 내부 판단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조강특위 위원장으로 이번 인적 쇄신을 주도한 김용태 사무총장을 교체 명단에 넣어 ‘특정 계파 솎아내기’라는 비판을 피하고 심사의 공정성을 강조하려 애쓴 흔적도 보인다. 다만 친박계에서 “사실상 친박 솎아내기”라는 반발과 함께 불응 의지까지 내비치고 있어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홍문종 의원은 “이번 발표로 비대위의 속셈이 그대로 드러났다”며 “당의 주인은 우리라는 생각에는 변화가 없고, 하루 이틀 더 생각해보고 추후 행보를 결정하겠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나경원 “강한 유감” 새 지도부서 뒤집힐까=김병준 비대위의 이 같은 결정에 나 원내대표는 크게 유감을 표한 상태다. 나 원내대표는 취임 직후 인적 쇄신 규모가 커지는 데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그는 이번에도 비대위 회의에서 교체 명단을 보고받은 뒤 기자들을 만나 “개혁 폭이 너무 크다”고 공개 반발하기도 했다. 교체안이 수정 없이 통과된 직후에는 “단일대오로 투쟁하는 데 있어 많은 전사를 잃는 결과가 될 수 있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고 밝히며 ‘구제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배제된 의원들이 의정활동으로 성과를 내면 2020년 총선 공천에서 가점을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내년 초 전당대회를 통해 들어설 새 지도부가 실질적인 공천권을 지녔다는 점 또한 주목해야 한다. 비대위의 쇄신 결정이 뒤집힐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