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윤봉길 의사 순국 86주기 추모식 효창공원서 거행

일본의 기세가 중국 대륙을 휩쓸던 1932년 4월29일, 중국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던쳐 일본침략군 수뇌부를 격멸하기 직전, 거사를 다짐하던 모습의 매헌 윤봉길 의사.일본의 기세가 중국 대륙을 휩쓸던 1932년 4월29일, 중국 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던쳐 일본침략군 수뇌부를 격멸하기 직전, 거사를 다짐하던 모습의 매헌 윤봉길 의사.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 86주기 추모식이 19일 오전 11시 서울 효창공원에서 열린다.

1908년 태어난 윤봉길 의사는 1920년대 ‘부흥야학원’과 ‘월진회’를 조직하는 등 농민계몽운동에 힘쓰다가 중국으로 망명해 김구 선생이 이끌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며 본격적인 항일 투쟁에 나섰다.


윤 의사는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생일을 맞아 일본군이 상하이 홍커우공원에서 상하이 점령 기념식을 거행하자 폭탄을 던져 일본군 요인들을 제거했다. 현장에서 체포된 윤봉길 의사는 같은 해 5월 일본 군사법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고 12월 19일 가나자와 일본 육군 공병작업장에서 순국했다.

관련기사



윤 의사는 26살 꽃 다운 나이에 처자를 남기고 생을 마감했으나 그의 의거는 만주와 상하이에서 만주와 상하이에서 일본에 연패, 실의에 잠겼던 중국인들에게 감동과 자극을 주었다.

중국 장제스 총통은 ‘중국 100만 대군과 4억 중국인이 못 한 일을 조선 청년 한 명이 해냈다’고 극찬하며 고마워했다. 이후부터 중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광복군 창설에 도움을 주었다.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회장 황길수) 주관으로 열리는 추모식에는 오진영 서울지방보훈청장, 나중화 광복회 부회장을 비롯한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기념사업회원, 시민 등 3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