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먹고살기 더 팍팍해진 자영업자·중산층…소득 증가율, 평균 밑돌아

‘세금 내니 쓸 돈 빠듯’…비소비지출 증가율, 소득 2배

지난해 자영업자, 중산층의 소득 증가율이 평균을 밑돌았다. 또 세금 등이 크게 늘며 가계 소득에 비해 실제 살림살이는 팍팍했다./이미지투데이지난해 자영업자, 중산층의 소득 증가율이 평균을 밑돌았다. 또 세금 등이 크게 늘며 가계 소득에 비해 실제 살림살이는 팍팍했다./이미지투데이



지난해 자영업자, 중산층의 소득 증가율이 평균을 밑돌았다. 또 세금 등이 크게 늘며 가계 소득에 비해 실제 살림살이는 팍팍했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0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발표했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5,705만원으로 1년 전보다 4.1% 늘었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은 3,639만원으로 4.0% 증가했고 사업소득은 1,244만원으로 2.2% 올랐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 비중은 63.8%로 0.1%포인트 떨어졌다. 가구소득을 분포 별로 보면 1,000만∼3,000만원 미만 구간에 24.5%로 가장 높은 집중도를 보였다. 그다음이 3,000만∼5,000만원(22.0%)이었다.


소득은 최고·최저 계층 중심으로 증가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소득은 1,057만원으로 5.6%, 소득 상위 20%인 5분위 소득은 1억3,521만원으로 4.6% 늘었다. 그러나 중산층은 달랐다. 2분위는 3.9%, 3분위는 3.2%, 4분위는 3.6%로 평균 증가율인 4.1%를 밑도는 증가율을 보였다.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점유율은 47.4%로 0.2%포인트 늘었다.

또 종사상 지위별로 파악했을 때 자영업자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2.1%로 가장 낮았다. 5.5%를 기록한 상용근로자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평균 소득을 보면 상용근로자 가구 7,438만원, 자영업자 6,365만원, 임시·일용근로자 3,500만원 순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1,037만원으로 8.2% 증가해 가구소득 증가율의 2배를 기록했다. 특히 세금(342만원)은 11.7%나 늘어 통계 작성(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세금 증가율을 기록했다. 상용 근로자 증가, 임금 상승으로 누진세 적용 대상자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가구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4,668만원으로 3.3% 증가하는 데 그쳤다.

관련기사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 가구 7,438만원, 자영업자 6,365만원, 임시·일용근로자 3,5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1,573만원으로 1년 전보다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자산은 평균 3억1,061만원으로 8.5%를 기록,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 드러났다. 이는 거주 주택 가격이 상승한 데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은 74.7%로, 0.7%포인트 늘어났다. 한편 금융자산은 1억512만원으로 4.5% 확대됐다.

소득 5분위의 자산은 9억572만원에 달하며 전체에서 가장 높은 9.0% 증가율을 보였다. 소득 5분위 자산은 1분위(1억3,332만원)의 6.8배에 달했다. 반면 소득 1분위(7.3%), 2분위(6.4%), 4분위(4.6%)의 증가율은 전체 평균 증가율을 밑돌았다.

전체 자산 점유율에서 소득 5분위 비중은 43.6%로 0.6%포인트 늘었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