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영역인 결제시장에 뛰어든 데 대해 비판이 거센 마당에 홍보한다고 혈세를 쓰는 게 적절한지 의문이다. 무엇보다 제로페이는 소비자뿐 아니라 혜택 당사자인 소상공인들로부터도 외면받는 실정이다. 그 원인을 파악해 경쟁력을 높이려 하기보다 혈세까지 들여 홍보에만 열을 올리니 답답하다. 현재 제로페이 가맹점은 서울의 경우 3만곳으로 전체 소상공인(66만명)의 5%가 채 안 된다.
시청 직원들을 동원하고 민간업체에 수당을 주면서까지 유치한 결과가 이 정도면 실패작이라고 할 만하다. 지금 구조상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명분 외에 장점이 거의 없다. 가장 큰 메리트라는 소득공제 40% 혜택은 체크카드와 큰 차이가 없는데다 통장에 잔액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다. 신용카드 같은 여신 기능도 없다. 제로페이를 일부러 사용할 이유가 적다는 얘기다. 이렇게 실효성이 떨어지니 누가 환영하겠는가. ‘인기가 제로여서 제로페이’ ‘탁상행정의 전형’이라는 비아냥이 나오는 까닭이 다 있다.
상품을 잘 만들었더라도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게 시장경제다. 지금처럼 시장에서 외면당하면 제로페이의 운명은 뻔하다. 세금만 축내다가 아무도 모르게 슬그머니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이제라도 정부는 홍보에 헛돈 쓰지 말고 ‘인기가 제로’인 원인부터 찾아 제대로 된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 바란다. 다행히 내년 3월 정식 서비스까지 시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