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분화 후 높이가 3분의 1로 줄어든 인도네시아 화산섬

높이 338→110m로 급감…체적도 약 1억5,000만㎥ 줄어

올해는 인도네시아에 재난의 해…“1년간 4,231명 숨져”

인도네시아 순다해협을 덮친 쓰나미의 원흉으로 지목된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지난 23일 화산재를 뿜어내고 있다. /AP연합뉴]인도네시아 순다해협을 덮친 쓰나미의 원흉으로 지목된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지난 23일 화산재를 뿜어내고 있다. /AP연합뉴]



인도네시아 순다해협을 덮친 쓰나미를 일으킨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의 높이가 분화 후 3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다.

인도네시아 화산지질재난예방센터(PVMBG)는 29일 성명을 통해 “육안 분석 결과 해발 338m였던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의 높이가 현재 110m가 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순다해협 주변 해안 주민들은 바다 위로 높이 솟아 있던 아낙 크라카타우가 이제는 해수면에 붙을 정도로 낮게 보인다고 전했다.


이 지역에선 지난 22일 밤 최고 5m 높이의 쓰나미가 발생해 최소 426명이 숨지고 23명이 실종됐다. 아낙 크라카타우 화산이 붕괴하면서 엄청난 양의 암석과 토사가 바다로 밀려들어 해저 산사태와 쓰나미를 유발했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PVMBG는 “이 과정에서 아낙 크라카타우 섬은 약 1억5,000만∼1억8,000만㎥의 체적을 상실한 것으로 추산된다. 남은 체적은 4,000만∼7,000만㎥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있는 인도네시아에서는 2018년 한 해 동안 2,426건의 자연재해가 발생해 최소 4,231명이 목숨을 잃었다.

수토포 푸르워 누그로호 BNPB 대변인은 “올해는 인도네시아 재난의 해였다. 자연재해로 4,231명이 숨진 것은 지난 10여 년 내 최악의 규모”라고 말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