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美 금리 인상 늦춰지면 시장안정에 긍정적”

유가 하락에 올해 물가 상승률 예상보다 낮을 듯

금리, 경기·금융안정 균형 고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국은행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국은행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지면 금융 시장 안정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기존 전망치 1.7%의 하향 조정을 예고했다.

이 총재는 2일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두 달 사이에 덜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인 쪽으로 바뀌었다”며 “금융시장 안정 차원에서는 좋아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달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올해 금리 인상 횟수 전망이 3회에서 2회로 하향 조정됐다. 그는 “올해 통화정책을 하는 데 미 연준의 통화정책이 어느 때보다 상당히 영향을 줄 것 같다”며 “경기가 안 좋아서 미 연준이 금리 인상을 천천히 하는 것이겠지만 금융시장이 워낙 촉각을 기울이고 있으니까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로 긍정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미 금리 인상이 올해로 종료할 수 있다는 신호가 나오면 한은도 금리 인하로 통화정책 방향을 선회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는 “여러 전제를 바탕으로 얘기하기는 어려운 문제”라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경기, 금융안정을 균형 있게 고려하는 상황은 올해도 마찬가지”라며 “(금융안정을) 완전히 제치기가 그렇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이 종전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해서다. 지난해 10월 한은이 내놓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7%다. 이 총재는 “유가는 워낙 금방 영향이 나타나니 올해 경제 지표 중 물가는 당장 큰 변화가 나타났다”며 “전망할 때 국제유가를 배럴당 60~70달러로 봤는데 지금은 40달러대”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요금이 오른다든가 하면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면서 “물가 상황은 올해 7월쯤부터 6개월마다 설명해 드리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 문제를 두고는 “차주 70%는 상환능력이 좋은데 문제는 취약계층”이라며 “그런 문제는 재정의 역할이고 정부도 그 점을 인식해 많이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잠재성장률 수준을 재검토하는 문제에도 “현재 추정치인 연 2.8~2.9%가 그대로 갈지 예단할 수 없다”면서도 “올해 성장률을 2.7%로 전망했는데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낮지 않다는 인식은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