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일 과학자 90% “2050년엔 AI가 인간지능 넘어선다”

도쿄공과대학에서 AI 로봇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 /니혼게이자이신문 캡처도쿄공과대학에서 AI 로봇 연구를 진행하는 모습. /니혼게이자이신문 캡처



일본 과학자의 90%가 2050년에 인공지능(AI)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설 것으로 봤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0~40대 젊은 남녀 과학자 3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50년까지 AI가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싱귤래리티(Singularity)’가 올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어느 쪽인가하면 그렇다고 생각한다”를 포함해 90%가 “그렇게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기술적 특이점(Technological singularity)’으로 불리는 싱귤래리티는 일반적으로 AI가 인공지능을 넘어서는 역사적 전환점을 가리킨다.

관련기사



싱귤래리티가 일어나는 시기는 2030년이 18%로 가장 많았고, 2040년은 16%였다.

“2050 년에 일본인의 사망 원인으로 무엇이 1 위를 차지하는가”라는 질문에 자살이 28 %로 가장 많았고, 암 (24 %)과 알 수 없는 질환 (19 %), 치매 (9 % ) 등이 뒤를 이었다.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수명이 길어 스스로 자신의 임종을 선택할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50년에 “현재 보다 행복해져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39%로 가장 많았고 “그런 편이다”가 24%로 60% 이상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기술진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과학자가 많다는 의미다.

한편 일본 정부는 ‘인간 중심’을 표방한 AI활용 7대 지침을 제정한데 이어 내년 일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이 원칙 채택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