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이 자체 개발한 돼지는 어떤 품종이 있나?

기해년 황금 돼지해 맞아 자체 복원 개발한 돼지 품종 소개

농진청이 기해년(己亥年) 새해를 맞아 그동안 자체 개발한 돼지 4품종에 대한 소개에 나섰다.

2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농진청이 지금까지 자체 복원·개발한 돼지는 축진참돈·축진듀록·우리흑돈·난축맛돈 등 4품종이다. 이 품종들은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도 우리나라 품종으로 등록됐다.


축진참돈은 한국 토종돼지를 복원한 돼지다. 축진참돈은 사라질 위기에 놓인 우리 고유의 재래돼지를 지키기 위해 지난 1988년부터 20년에 걸친 복원사업을 통해 탄생했다.

이 돼지는 문헌 속 재래돼지처럼 ‘털은 검고 머리는 길고 뾰족하며, 이마에는 산모양의 주름이 있고, 코가 길고 곧으며, 귀는 앞쪽을 향한’ 모습이다.

축진참돈은 ‘축산업을 진흥하는 진정한 돼지’라는 뜻으로, 품종 등록을 마쳤다. 재래돼지의 복원은 품질 좋은 돼지고기를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원 확보라는 데 의미가 있다. 현재 4개 기관에 600여 마리를 보존 중이다.

축진듀록은 한국형 씨돼지이다. 축진듀록은 지난 1998년 미국과 캐나다의 씨돼지를 들여와 10년에 걸쳐 우리나라 환경에 맞춰 개량한 품종이다.

축진듀록축진듀록






온몸이 황금색인 축진듀록은 우리나라 대표 씨돼지이다. ‘축산업을 진흥하는 듀록’ 품종이라는 뜻을 담은 이름은 지난 2009년 상표등록을 마쳤다. 돼지우수인공수정센터기준의 규격 돼지 합격률이 70% 이상으로 뛰어나며, ‘축진듀록’을 활용한 돼지가 1+(일플러스) 등급의 육질을 생산하는 비율은 38%에 이른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아비 씨돼지의 국산화를 이끌 품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국 우수돼지인공수정센터와 경기도축산진흥센터, 충남축산기술연구소 등에 해마다 100마리가량 보급하고 있다.

관련기사



우리 흑돈은 육질이 뛰어난 흑돼지다.

우리흑돈우리흑돈


우리흑돈은 고기 맛이 좋은 축진참돈과 성장이 뛰어난 축진듀록을 교배했다. 재래돼지보다 잘 자라며, 고기 색이 붉고 육즙이 풍부한 것이 장점이다. 지난 2015년 상표권과 특허등록을 마쳤고, 해마다 양돈 농가에 기술 이전으로 100여 마리를 보급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전국 단위 고기 유통망과 씨돼지 농장을 갖춘 생산자 단체와 업체에도 보급을 늘려갈 계획이다.

난축맛돈은 천연기념물 제주흑돼지를 활용해 개발한 품종이다.

난축맛돈은 제주흑돼지와 개량종인 랜드레이스를 교배해 맛과 성장 등 경제 형질도 높인 품종으로, 지난 2005년부터 8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했다. 특히 최신 유전체 기법을 이용해 제주흑돼지의 맛 관련 형질과 털의 색을 조절하는 핵심 유전자를 고정했다. 맛에 영향을 주는 근내지방도(결지방)는 일반 돼지보다 3배 이상 높고, 소비자의 맛 평가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지난 2014년 특허등록과 상표등록을 마쳤으며, 지금까지 생산자 단체와 농가 등에 씨돼지 285마리를 보급했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문홍길 양돈과장은 “재물과 복을 상징하는 ‘돼지해’를 맞아 농촌진흥청에서 복원·개발한 우리 돼지 품종들이 국민들에게 더 많이 사랑받으며, 양돈산업의 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올 한 해도 더욱 열심히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