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北, 타협점 안보이면 회담 안할것"

태영호, 金 신년사 분석

北, 핵포기 가능성에 "그럴 일 없어"




태영호(사진) 전 영국 주재 북한 공사가 2차 미북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미국과 북한 간 타협점을 찾을 수 없다면 북한이 회담장에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태 전 공사는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서 “2차 미북정상회담 전까지 북한과 미국 사이에 타협점이 보이지 않는다면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은 2차 미북정상회담에 나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말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포함된 ‘새로운 길’이라는 대목에 주목했다.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는 미국이 약속을 지키지 않고 북한에 대한 제재와 압박을 지속한다면 ‘새로운 길’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 태 전 공사는 “김정은이 미국 대통령과 마주앉을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바로 뒤에 다른 길을 모색할 수 있다는 공갈 대목을 끼워넣었다”며 이 같은 해석을 내놓았다.

관련기사



북한이 핵 보유국 지위를 굳히려 하고 있다고도 주장했다. 태 전 공사는 “(신년사의) 문맥을 관통해보면 2018년 초나 지금이나 핵무기를 끝까지 고수해나가려는 입장에서 한 치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한마디로 압축해보면 미북 핵 협상을 핵 군축협상으로 좁혀 전략적 위치를 굳히고 대북제재 완화를 끌어내려는 것이다. 핵 보유국 지위를 더욱 굳히려는 전략적 의도가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올해 대북제재를 풀기 위해 핵 폐기 결단을 내릴 수 있다는 일각의 기대감에 대해서도 “그럴 가능성은 없다”며 선을 그었다. 그는 “(핵 포기 결단은) 일부 사람들의 희망에 지나지 않는다”며 “북한 외교관으로서 저는 북한이 그런 합리적인 사고나 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한다”고 단언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현실화될 가능성은 높이 점쳤다. 태 전 공사는 “김정은이 제일 관심을 갖는 것은 개성공업지구와 금강산관광 재개와 같이 현실적으로 이익이 되는 부분”이라며 “만약 이것이 재개되는 돌파구가 열린다면 서울까지는 아니어도 판문점에서 4·5차 남북정상회담을 하자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태영호(왼쪽 두번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 참석해 자유한국당 오세훈 국가미래비전특위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태영호(왼쪽 두번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 참석해 자유한국당 오세훈 국가미래비전특위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