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박 터뜨린 '효리네 민박'...제주관광객 100만명 늘려

한은 '유명인 방송 영향' 분석

생산유발효과 6,200억 달해

가수 이효리의 제주 생활을 다룬 TV 프로그램 ‘효리네 민박’이 관광객 100만명을 끌어모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적절한 콘텐츠와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8일 발표한 ‘제주거주 유명인 방송노출이 제주관광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효리네 민박’이 방영된 2017년 6월~2018년 5월까지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이 100만7,000명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제주여행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내경기나 항공기 왕복편수 등의 변수로 설명되지 않는 관광객 증가분을 따진 결과다. 보고서는 또 방송의 생산유발효과는 6,251억원으로 2016년 기준 제주도 연간 총산출액 30조3,000억원의 2.1%,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3,034억원으로 2017년 기준 제주도 연간 총부가가치의 1.8%에 달한다고 평가했다. 취업유발효과는 8,693명으로 2017년 기준 제주도 연간 취업자 37만4,000명의 2.3%였다. 방송 효과가 미친 영향이 큰 업종으로는 음식업과 주점업, 숙박업이 꼽혔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문제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한 시기에 내국인 관광객을 모아 지역 산업 기반 안정화에 이바지했다는 해석도 담겼다.




한은은 제주 여행정보에 대한 수집경로가 인터넷 검색 중심이라는 점에 착안해 포털사이트 검색빈도 추이 분석을 통해 ‘효리네 민박’이 도내 특정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 변화도 가져왔다는 결론도 내놨다. 궷물오름과 금오름 등은 제주 토박이들에게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방송 직후 검색빈도가 급증, 전국적인 인지도도 크게 상승했다. 다만 성산일출봉과 한라산 등 이미 널리 알려진 관광지들은 방송 직후 일시적인 상승을 보였다가 이전 수준으로 회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방문객이 적은 제주 서부지역의 인기도 높아졌다. ‘애월’과 ‘소길리’의 지명 검색빈도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특히 방송이 등장인물의 체험과 대화 등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관광지를 자연스럽게 노출해 시청자들에게 호감과 낭만적 이미지를 안긴 점에 주목했다. 한은 관계자는 “관광정보를 단순 나열하는 방법과 비교해 제주만의 가치를 성공적으로 부각했다”며 “나홀로 여행객이 늘고 직접체험이나 자연을 통한 힐링 같은 여행 트레드 변화를 고려해 맞춤형 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