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이제 관심은 2기 내각으로...정치인보다 관료 중용하나

설 전후 중폭 개각...후보군 물색

총선 앞둬 의원들 입각 꺼려해

靑정책 이해도 높은 관료 쓸듯

문재인 정부 2기 청와대를 이끌 비서실장 임명이 완료되면서 앞으로 정치권의 관심은 개각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설 전후 중폭 이상의 개각을 위한 후임자 물색에 이미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개각 과정에서 ‘정치인 장관’ 그룹이 퇴진하고 ‘관료·전문가’ 그룹이 중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 1기 내각은 대부분 정치인으로 채워졌다. 청문회 통과에 유리한데다 집권 초에는 개혁 성향 인사들로 정부를 장악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총선이 내년 4월로 다가온 상황에서 출마 의사가 있는 의원들이 입각할 경우 ‘단명 장관’이 될 수밖에 없다. 장관이라는 ‘감투’가 주는 매력이 있지만 지역구 관리에는 허점이 생긴다.

관련기사



여당 사정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집권 중반기가 되면 성과를 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개혁적 성향의 학자나 정치인을 쓰다가 다시 관료로 돌아간다”며 “전직 의원 출신 중에 쓸 수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별로 후보군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지역 출마에 부담을 갖고 있는 비례대표 가운데는 입각을 선호하는 의원들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 역시 ‘총선 불출마’를 전제로 입각을 희망하는 의원들을 물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권 3년 차를 맞아 본격적인 정책 성과를 내야 하는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출마를 앞둔 정치인들을 기용할 경우 연말에 다시 개각을 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재인 정부가 집권 2년여를 맞으며 부처 관료들에 대한 평가도 어느 정도 형성된 상태”라며 “정책 이해도가 높은 참모 출신이나 관료들을 중용하지 않겠느냐”고 예상했다.


윤홍우·송종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