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지금껏 본적없는 토기의 발견

금관가야권역 김해 봉황동 유적서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 출토

김해 봉황동 금관가야 유적지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 /사진제공=문화재청김해 봉황동 금관가야 유적지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 /사진제공=문화재청



금관가야의 중심권역인 김해 봉황동 유적(사적 제2호)에서 지금까지 발견된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집모양토기가 발견됐다.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는 2015년부터 발굴조사 중인 금관가야 추정왕궁지인 김해 봉황동 유적의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의 건물지 주변에서 집모양토기가 출토됐다고 9일 밝혔다.


높이 6~7㎝로 한 손에 잡힐 만한 크기인 이 토기는 네모꼴의 출입구가 설치된 정면은 평평하고 뒤쪽은 반원형의 벽체로 이뤄져 있다. 지붕도 앞쪽은 맞배지붕이나 뒤쪽은 삿갓모양이다. 여닫이문이 열려 있는 형태의 출입구 아래에는 받침대가 놓여 있으며 한쪽 벽에는 원형 창도 나 있다.

관련기사



지금까지 국내에 알려진 삼국 시대 집모양토기 대부분은 기둥 위에 집을 올려 만든 고상식(高床式)의 맞배지붕 구조라 처음 확인된 사례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창원 다호리 고분에서 발견된 집모양토기를 비롯해 호암미술관·숭실대 박물관 등이 소장한 가야권역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 등은 거의가 고상식이다. 이들 집모양토기는 무덤 주변에서 주로 발굴됐으나 정확한 용도는 밝혀지지 않았다.

가야문화재연구소 측은 “벽체가 땅에 닿은 지면식(地面式) 구조, 삿갓형과 원형이 섞인 지붕모양 등 처음 확인된 사례를 통해 가야의 생활사와 건축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삼국지’ 동이전에 따르면 삼한의 가옥에 대해 ‘거처는 초가집과 흙방으로 짓는데, 모양이 무덤과 같으며, 그 문이 위에 있다’라고 표현한 부분이 있는데 이번에 출토된 집모양토기가 이 문헌사료와 유사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