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정확성 위해 미세먼지 예보관 늘린다는데

환경부 16명이상으로 증원 방침

전문가 "전문성 없으면 효과 미미

기술·장비 투자 뒤따라야" 지적

정부가 내년 2월 미세먼지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미세먼지 예보관 수를 2배 이상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오락가락하는 미세먼지 예보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함이지만, 예보관 숫자만 늘리고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13일 정부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현재 8명인 미세먼지 예보관 숫자를 16명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이달 내 행정안전부에 공식 요청할 예정이다. 오는 2월부터 미세먼지 특별법이 시행되는 만큼 예보관 숫자를 늘려서 미세먼지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미세먼지 특별법이 시행되면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될 때 수도권 노후 경유차의 운행이 금지되는 등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강력한 조치가 시행된다. 올해 하반기에는 최대 모레까지인 미세먼지 예보도 주간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미세먼지를 예보하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대기질통합예보센터에는 8명의 예보관이 2인 1조로 하루 12시간씩 근무해왔다. 전국 19개 시·도의 미세먼지를 예측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인원이다. 약 240명에 달하는 기상청 예보관 수와 비교해도 3.3% 수준에 그친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도 환경부의 ‘미세먼지(PM10) 예보 정확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는 지난 2014년 83%에서 2017년 89%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얼핏 예보 정확도가 매년 좋아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많다. 실제 컴퓨터 수치모델에서 산출한 예측값의 정확도는 50%대에 불과하다. 관측자료 등을 차 참고한 예보관들의 판단도 평균 30% 정도나 개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장임석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질통합예보센터장은 “각 시·도에 배치돼 그 지역의 예보만 담당하는 기상 예보관과 달리 대기질예보센터 예보관은 전국의 모든 지역을 맡는 상황”이라며 “기술이 아무리 좋아져도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예보관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미세먼지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역부족이라고 지적한다. 예보관들의 전문성을 키우고, 기술·장비 투자가 뒤따라야 한다는 의미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2020년 환경과학원에서 쏘아 올릴 정지궤도 위성과 해수부의 해상 관측망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올해 한국형 미세먼지 예보 모델 개발이 완료되고 중국의 대기환경 감시 센터와 교류를 확대하는 등 예보 정확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 기울이겠다”고 설명했다.
/세종=정순구기자 soon9@sedaily.com

정순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