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종∼대전 광역전철 건설 속도내나

세종시 "사업편익비용 예타 통과 기준 1.0 넘어 경제성 충분"

세종~대전 광역철도 노선 운영계획. /사진제공=세종시세종~대전 광역철도 노선 운영계획. /사진제공=세종시



세종시와 대전시 북부권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건설사업이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세종시가 31일 발표한 세종∼대전 광역철도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세종과 대전을 잇는 광역철도 건설사업에 대한 경제성 관련 사업편익비용이(B/C)은 1.02∼1.11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해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려면 B/C가 1.0을 넘어야 하며, 이를 넘지 못하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세종∼대전 광역철도 건설사업은 6,300억원을 투입해 대전도시철도 1호선의 종점인 유성구 반석동 반석역부터 세종시까지 연결하는 사업이다. 이 광역철도 건설 시 하루평균 이용객이 2만∼2만5,000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으며, 특히 세종시에서만 2025년 기준 1만3,000명, 이후 2045년에는 1만7,000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관련기사



세종시는 총 3가지 노선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했는데, 제1노선은 반석역과 세종고속버스터미널을 잇는 9.6km 구간으로 외삼역·KTX 세종역·고속버스터미널역 등 3개 역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나머지 2개 노선은 반석역에서 시작해 KTX 세종역을 잇는 구간이다.

시는 이날 발표에서 제기된 세종정부청사역을 신설하는 방안을 포함해, 용역 결과를 보완한 후 세종∼대전 광역철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까지 해당 철도 노선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돼 2021년에 기획재정부의 예타를 받겠다는 게 시가 그리고 있는 그림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이번 용역 결과에는 호남선 KTX역 신설에 따른 교통 수요를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이용객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용역 결과를 보완해 세종∼대전 광역철도가 본격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