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현대重, 대우조선에 2조5,000억 투입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이 대우조선 민영화를 위해 현대중공업과 조선통합법인을 신설한다. 산은은 대우조선해양 지분 55.7% 전량을 신설 법인에 현물 출자하고 현대중공업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1조5,000억원과 추가로 1조원을 지원하는 등 총 2조5,000억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산은은 지주격인 신설법인의 2대주주가 된다. 신설법인 산하에는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외에 현대중공업 자회사인 현대삼호와 현대미포도 편입된다. 신설법인은 사실상의 지주회사가 된다.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 인수가 확정되면 ‘매머드급’ 조선사가 탄생하게 된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31일 이사회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방식으로 대우조선 민영화 절차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민영화가 성공하면 혈세 10조원이 투입된 대우조선이 20년 만에 산은 품을 떠나게 된다. 이 회장은 “조선업종 중심 계열인 현대중공업과 산업 재편 필요성 등에 대해 공감대를 이뤄 우선적으로 인수합병(M&A) 절차를 진행했다”며 “오늘 조건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른 잠재 매수자인 삼성중공업 측에도 조만간 접촉해 (대우조선) 인수 의향을 타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 인수가 성사되면 연구개발(R&D) 통합, 중복 투자 제거,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한 재료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노조는 “구조조정이나 조합원 권익 침해 소지가 있는 인수라면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에 이 회장은 “이미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이고 불가피한 측면도 없다”면서 “M&A가 성사되면 우수 인력 유치와 고용 유지에 매진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