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안전띠 미착용, 착용 시보다 사망률 26배 높지만…뒷차석 안전띠 착용률 54.9%




고속도로 이용 차량의 뒷자석 안전띠 착용률이 54.9%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띠 미착용자는 착용자보다 사망률이 26배 높다는 결과도 공개됐다.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지난달 26일 서울을 드나드는 주요 고속도로 요금소 4곳에서 승용차 2천186대를 살펴본 결과 뒷좌석 안전띠 착용률은 54.9%로 나타났다.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한 지난해 9월 조사에선 뒷좌석 착용률이 36.4%였는 점에서 개선된 결과지만 여전히 앞 좌석 착용률(94.6%)에 못 미쳤다.

관련기사



연구소는 안전띠 착용 여부에 따라 사망률이 현저하게 차이 난다고 경고했다. 사상자 중 사망자의 비율은 안전띠 미착용이 1.04%로 착용 시 비율(0.04%)의 26배에 달했다. 중상(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1∼3급 상해) 발생률도 안전띠 미착용 시 3.73%로 착용 시(0.22%)의 약 17배였다. 뒷좌석 안전띠 미착용에 따른 사망자는 60대 이상이 34.4%로 가장 많았고, 청소년(13∼19세)이 14.0%로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 사망자는 여성이 남성의 약 2배였다. 안전띠를 매지 않은 경우 사상자 중 사망자·중상자 발생률은 뒷좌석 가운데 자리가 각각 1.3%와 4.7%로 가장 높았다. 연구소는 “가운데 자리는 앞 좌석의 보호가 없어 다른 좌석보다 사망자나 중상자가 발생률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