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국당 토론회 횟수 놓고 후보자 간 신경전

심재철·정우택·주호영·안상수 공동 입장문

“토론회 한번 없이 컷오프…검증 없는 깜깜이”

홍준표·오세훈도 “토론회 늘리자” 주장

‘정당 정치 경험 無’ 황교안 검증·견제 분석

자유한국당 차기 당권 주자인 황교안(왼쪽부터) 전 총리, 홍준표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주호영 의원, 안상수 의원, 정우택 의원, 심재철 의원/연합뉴스자유한국당 차기 당권 주자인 황교안(왼쪽부터) 전 총리, 홍준표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주호영 의원, 안상수 의원, 정우택 의원, 심재철 의원/연합뉴스



자유한국당 대표를 뽑는 2·27 전당대회 토론회 횟수를 두고 주자 간 신경전이 뜨거워지고 있다.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전대 TV 토론회 일정을 2회로 정한 가운데 황교안 전 국무총리를 제외한 다른 후보들이 ‘자질 검증’을 주장하며 횟수 증가를 주장하고 있다.

당 대표 후보로 나선 심재철·정우택·주호영·안상수 의원은 6일 공동으로 입장문을 내 “당 대표 경선과 관련해 후보들과 룰 미팅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결정하느냐”며 당의 방침을 일제히 비판했다. 이들은 “대표적인 것이 토론회 한번 없이 컷오프하겠다는 것”이라며 “그저 후보자의 일방적인 연설만 듣고 결정하라는 것이냐”고 날을 세웠다. 한국당 선관위는 전대 TV 토론회를 2회, 합동 연설회를 4회 하기로 하고, 당대표 후보가 4명을 초과하면 컷오프(후보자예비심사)를 실시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4명의 후보는 물론 당권 경쟁에 뛰어든 홍준표 전 대표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토론회 횟수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연설회는 후보의 일방적 주장만 있어 한계가 있는 데다 컷오프 전 실질적인 검증이 이뤄질 토론회가 한 번도 없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 것이다. 홍 전 대표는 앞서 페이스북에 “후보자의 정견과 정책 검증, 신상 검증 없이 깜깜이 선거를 하라는 것인데 이런 선거는 TV토론이 도입되고 난 이후 처음 보는 일”이라며 “특정후보의 정책, 인물검증을 피하려 깜깜이 전대를 추진하는 것은 모처럼 호기를 맞은 당 지지율 상승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라고 당의 결정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바 있다. 오 전 시장 역시 후보 검증의 한계를 들어 토론 횟수를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날 입장문을 낸 의원들은 “토론회는커녕 심지어 일부 지역에서는 합동 연설회가 컷오프 뒤에 잡혀 있어 책임당원들은 말 한마디도 못 듣고 컷오프 조사에 응해야 한다”며 “당 지도부는 즉시 룰 미팅을 열고 토론회 대폭 도입 등 과정에서부터 당 개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당 지도부의 결정을 보며 공동 행동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당권 주자들의 이 같은 신경전은 지지세를 넓히고 있는 황 전 총리에 대한 견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황 전 총리가 한국당 입당 및 대표 도전과 동시에 보수 진영의 유력 대권 주자로 급부상한 가운데 ‘정당 정치 경험이 없다’는 그의 약점을 부각하기 위해 ‘검증’을 강조하고 나섰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황 전 총리는 선관위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