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세계銀 총재에 맬패스 낙점...대중 압박 더 거세지나

트럼프 충성파...다자주의 비판

이번주내 최종 지명 발표할 듯

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로이터연합뉴스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로이터연합뉴스



김용 세계은행 총재의 후임으로 친트럼프 인사인 대중국 강경파 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이 사실상 낙점된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 대중 강경노선을 지지하고 글로벌리즘과 다자주의를 비판해온 인물이라는 점에서 국제사회에 큰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미국 측은 세계은행 회원국에 맬패스 차관이 총재직을 맡도록 지지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종 지명 발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새해 국정연설 이후 이번주 내로 이뤄질 예정이다.


‘트럼프 충성파’로 분류되는 맬패스 차관이 차기 총재에 낙점된 데는 국제금융기구에 대한 미 정부의 통제가 강화되기를 바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맬패스 차관은 세계은행의 가장 큰 수혜국 가운데 하나인 중국에 대한 세계은행의 차관 공여를 중단하라고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높인 ‘매파’로 잘 알려져 대중국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일부에서는 전 세계 빈곤 퇴치, 개발도상국 발전 등을 주도해온 다자주의 국제기구인 세계은행 총재 자리를 두고 미국과 유럽 간 갈등이 예상된다는 관측도 나온다. 맬패스 차관이 대표적인 반국제기구주의자라 유럽연합(EU) 등에서 따로 후보를 내세워 맞설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맬패스는 세계은행 같은 다자주의적 국제기구에 대해 “덩치가 커지면서 주제넘게 참견하고 있다”고 비난하는 등 부정적 입장을 취해왔다.

세계은행 이사회는 7일부터 오는 3월14일까지 회원국들로부터 차기 총재 후보 추천을 받는다. 이후 이사회가 후보 3인을 발표한 뒤 4월 중순까지 새 총재를 선출하게 된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