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부, 경기·강원 등 접경지역에 13조 투자해 성장동력 마련

행안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2030년까지 225개 사업

DMZ 인근에 도보여행길, 한탄강에 주상절리길 조성

중복된 규제로 지역개발이 정체된 경기·강원 등 접경지역의 발전 기반 마련을 위해 13조2,000억원이 투자된다.

행정안전부는 접경지역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주민 삶의 질 제고 등의 내용을 담은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변경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2011년 11개 부처가 참여해 접경지역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했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8년 간 2조8,000억원을 투자해 관광자원 개발, 산업단지 조성, 교통기반 확충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

이번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은 새로운 정책수요를 반영하고 계획의 실행 가능성을 제고해 접경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됐다.

우선 남북관계 개선, 국가균형발전, 지역일자리 및 활력제고 등 지난 8년 동안 변화된 국·내외 정책 환경을 반영했다. 당초 계획된 사업 중 타당성이 부족한 사업은 제외하고 주민이 원하는 사업을 신규 발굴해 계획의 내실화를 도모했다. 특히 타 시·군에 비해 부족한 문화·체육·복지시설 등 주민밀착형 생활(SOC) 시설을 대폭 확충해 주민 삶의 질을 제고할 계획이다.

변경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생태·평화 관광 활성화 △생활 SOC 확충 △균형발전 기반구축 △남북 교류협력 기반조성 등 4대 전략 및 10대 과제에 따라 추진된다.


2030년까지 225개 사업에 국비 5조4,000억원, 지방비 2조2,000억원, 민자 5조6,000억원 등 13조2,000억원을 들려 접경지역을 한반도의 생태·평화벨트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인 사업 내용을 보면 생태·평화 관광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한다. 분단·평화의 상징이자 생태계의 보고인 비무장지대(DMZ) 인근인 강화-고성에 도보여행길을 조성해 세계적인 관광코스로 개발한다.

자연·생태가 잘 보존된 한탄강 주변 주상절리 협곡을 감상할 수 있는 접경지역 대표 생태체험공간이 조성된다.

지형·지질학적으로 가치가 높은 양구에는 하늘길(곤돌라)과 전망대, 편의시설이 조성될 예정이며 국방개혁에 따라 발생되는 군부대 폐막사 등 군사시설을 활용해 서버이벌 게임존 등 병영 체험공간이 조성된다.

강화와 고성에는 민·군이 함께 문화·체육·복지시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커뮤니티센터가 대폭 확충될 예정이다. 연천지역에는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은통산업단지가 들어서고, 화천과 고양에는 지역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남북교류·협력을 대비한 교통망 확충을 위해 영종-신도 평화도로(왕복2차로)가 조성되고 철원에는 남북문화 교류를 위한 남북문화체험관이 들어선다.

행안부는 “변경된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은 타당성검토, 상위계획과의 연계, 군부대 협의 등 사전절차를 이행 후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크고 가시적 성과를 낼 수 있는 사업은 선도사업으로 우선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