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반도체굴기는 꿈?…4년 뒤에도 수요 80% 수입 의존 전망

IC인사이츠 “2023년 中 점유율 8.2%…절반 이상 삼성·하이닉스 등 외국업체 생산”

중국 정부가 ‘반도체 굴기’를 위해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쏟아붓고 있지만 4년 뒤에도 중국 반도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0%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특히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물량의 상당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텔 등 외국업체들의 현지 공장에서 나오는 것이어서 외국 의존도는 당분간 높은 수치를 유지할 전망이다./연합뉴스중국 정부가 ‘반도체 굴기’를 위해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쏟아붓고 있지만 4년 뒤에도 중국 반도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0%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특히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물량의 상당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텔 등 외국업체들의 현지 공장에서 나오는 것이어서 외국 의존도는 당분간 높은 수치를 유지할 전망이다./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반도체 굴기’를 위해 막대한 자본과 인력을 쏟아붓고 있지만 4년 뒤에도 중국 반도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10%를 밑돌 것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특히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반도체 물량의 상당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인텔 등 외국업체들의 현지 공장에서 나오는 것이어서 외국 의존도는 당분간 높은 수치를 유지할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츠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오는 2023년 중국 내 반도체 생산 규모가 470억달러(52조9,220억원)로, 지난해(238억달러)의 2배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오는 2023년 중국의 반도체 시장 규모 전망치(2,290억달러)의 20.5%에 불과한 수치다. 지난 2013년의 12.6%와 지난해 15.3%보다는 상승한 값이지만 4년 뒤에도 중국 내의 엄청난 반도체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80% 정도는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IC인사이츠는 “오는 2023년 전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5,714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 가운데 중국 내 반도체 생산 물량(470억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8.2%에 그치는 셈”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지난해 중국 내 반도체 생산 가운데 상당수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인텔, 대만 TSMC 등 외국업체들에 의한 것이며, 오는 2023년에도 최소한 50% 정도는 외국 업체의 현지 공장에서 나올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중국은 앞으로 몇 년간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어느 정도 낮출 수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중국의 외국 IT기업 인수에 대한 감시 강화와 중국 스타트업이 직면할 여러 법적 문제 등을 감안하면 난항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 정부가 제조업 육성을 위해 내놓은 ‘중국제조 2025’ 프로젝트에서 제시한 반도체 자급률 목표치(2020년 40%·2025년 70%)를 달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