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관광 문턱’ 허무는 경기도 인프라 개선 등 90억 투입

경기도는 장애인과 노약자 등 관광 약자들도 언제라도 즐길 수 있는 ‘배리어 프리(문턱 없는)’ 관광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올해 24억5,000만원을 시작으로 오는 2022년까지 모두 90억5,000만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관광지 공간환경 개선 및 이동권 강화, 정보접근체계 구축, 문턱 없는 관광콘텐츠 구축 및 시범 투어 추진, 관광서비스 및 인식 개선 등 4개 분야로 나눠 진행한다. 도는 우선 올해부터 2022년까지 공모를 통해 매년 3곳씩 모두 12곳의 관광편의시설을 선정, 가족 화장실이나 경사로 같은 시설 설치 및 개·보수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동권 강화를 위해 경기도종합장애인복지관(누림센터)에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특장차량(버스 1대, 카니발 4대)을 도입해 관광 약자의 관광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 이용을 원하는 장애인 단체나 가족은 경기도 누림센터를 통해 유류비 및 보험료 부담만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정보접근체계 구축 차원에서는 올해 시범적으로 임진각 관광지에 내국인뿐 아니라 외국인, 어린이들도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픽토그램을 설치하는 한편,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유도 표지판 등도 설치한다. 경기도박물관과 미술관, 전시관 등 주요 문화시설과 관광지에 다국어 음성안내가 가능한 QR코드 안내판도 설치한다.

관련기사



도는 또 올해 2억원을 투입해 장애 유형별, 노인, 영·유·아동, 임산부 등을 위한 맞춤형 관광코스를 개발하고, 연간 10차례 정도 관광 약자 시범 투어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밖에 관광서비스 인식개선을 위해 관광업계 종사자, 문화관광 해설사를 대상으로 관광 약자 서비스·인식개선 교육을 하고, 올 상반기 인증기준을 마련해 장애물 없는 관광시설 인증제도 추진한다.

도는 지난 2017년 우리나라 관광 약자가 장애인 4%, 65세 이상 노인 11.4%, 9세 이하 영유아 9.5% 등으로 전체 인구의 23.3%를 차지하고, 매년 한국을 방문하는 노령 관광객이 증가해 이같은 사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오후석 경기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경기도에는 교통 접근성도 좋지 않고 장애인 등 관광 약자들이 여행하기에 어려운 관광지가 아직 많다”며 “장애인·노인 등과 같은 관광 약자를 포함해 모두가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관광환경을 계속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