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주식포커스》 코스피 길어지는 숨고르기… 추세전환 이끌 핵심이슈는?

코스피지수가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감에 2거래일 만에 2200선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추세적인 상승은 어려우며 미국과 유럽의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된 다음달 중순까지는 종목장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18일 "주가수준 부담 때문에 지수 상승을 주장하기 어려워졌다"며 "12개월 선행 예상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 10배가 어느새 코스피지수 2170선까지 내려와 당분간 지수 횡보는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 매매에서 발생하는 망각의 시선을 바로잡자 (선착순 7명)
http://www.x1.co.kr/ad/?seq=6843&anal_id=251


그러나 시장의 풍부한 자금(유동성)에 대한 기대감은 강해지고 있다. 올해 내내 미국 기준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비슷한 분위기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주말에는 브느와 꾀레 ECB 집행이사는 유로존 경기둔화가 예상보다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물가 압력은 매우 낮은 상태라며, 장기대출 프로그램(LTRO)이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월 회의에서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가 얼버무렸 던 3차 LTRO 시행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이달 들어 가치보다 성장, 대형주보다 중소형주가 우월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며 "경기는 둔탁하지만, 이로 인해 중앙은행의 유동성 공급은 배가되면서 종목장 형태의 시장이 전개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ECB 통화정책회의가 열리는 3월 중순까지는 이러한 성격의 시장이 좀 더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종목장세를 만들 또다른 요인은 달러강세다.

◆ 매도에 이르기까지 꼭 거쳐야 할 우선판단 지표 2가지 (무료 확인)


"외국인의 투자 요인 중 하나는 환율"이라며 "투자 대상국의 통화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달러 이외의 자산에 있어 달러강세는 투자자금 유입에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달러강세 환경은 이어지고 있다. 미 중앙은행의 통화완화적 기조에도 달러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기 둔화 우려는 지속 중이다. 미중 무역협상은 우호적이나 쉽게 해결하기 어려우며,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를 둘러싼 불활성도 계속되고 있다.

◆ 3거래일 연속 상한가 도달! 추가 상승판단법(선착순 5명)

"코스피지수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12개월 선행 예상실적 기준 주가수익비율(PER)은 장기 평균인 9.8배를 넘어선 10.2배 수준"이라며 "지수 상승을 뒷받침할 수 있는 동력이 있어야 하지만 부재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대형주 중심에서 개별 종목별로 차별화된 흐름이 강해질 것"이라며 "반등 과정에서 비교적 덜 올랐던 코스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오늘의 관심종목
에스에스알(275630)/용평리조트(070960)/씨티젠(036170)/한컴시큐어(054920)/신라젠(215600)

★ 외국인/기관 순매수 종목 TOP 10 (클릭)

◈ 수급을 보는 법! 잘못알고 계시진 않은가요? (무료 확인)
◆ 2분기 모멘텀 폭발 할 기대주 3선 정밀분석 (클릭)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