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원전이용 찬성' 3차 조사도 70% 넘어

■원자력학회 인식조사

진보성향서도 찬성률 과반 이상

20대 75% 2위...이전보다 늘어

신한울 건설재개 서명 40만명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원전 이용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보수 성향은 물론 중도와 진보 성향에서도 과반 이상이 원전 이용에 찬성했다. 20대의 찬성률도 75.7%를 기록해 이전 조사(1차 71.4%, 2차 68.9%)보다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원자력발전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리서치가 진행한 이번 조사는 지난 15~17일 전국의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신뢰도는 95% 수준, 표본오차는 ±3.1%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두 차례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원전 이용에 대한 찬성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원전 이용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문에 71.4%는 ‘찬성한다’고 응답했고 반대는 26.2%에 그쳤다. 이념 성향에 따른 찬성률을 살펴보면 보수가 88.2%로 가장 높았고 중도(73.3%), 진보(59.0%) 성향도 50%를 넘었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84.7%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75.7%로 뒤를 이었다. 50대(75.2%), 30대(59.2%), 40대(56.3%) 모두 50%를 넘겼다.


앞으로 전기 생산에서 원전 비중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는 67.7%가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답했다. ‘줄여야 한다’는 답은 28.5%에 불과했다. 줄여야 한다는 응답자 중에서도 궁극적으로 원전 비중을 ‘0’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동의한 사람들의 비율은 7.3%에 불과했다.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의견이 다소 우세했다. ‘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51.7%,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43.9%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학회는 이날 ‘탈원전 반대 및 신한울 3·4호기 건설재개 범국민 서명운동’ 참가자가 40만명을 넘어선 40만1,492명을 기록하고 있다며 정부에 답변을 촉구하기도 했다. 김명현 한국원자력학회 회장은 “세 차례 실시한 독립적 국민인식 조사에서 일관되게 국민 10명 중 7명은 원자력발전 이용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대다수 국민은 탈원전 정책에 동의하지 않는 것이 확인됐다”며 “정부는 이 사실을 유념해 탈원전 정책에 대한 국민의 뜻을 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확인하고, 그 결과를 에너지정책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