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2022년까지 중소기업에 9,066억 투자

18만7,000개 中企지원…6만4,000명 일자리 창출

21일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경기도 중소기업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21일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가 ‘경기도 중소기업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는 우리 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2년까지 9,66억원을 투자한다고 21일 밝혔다.

이와 함께 도는 18만7,000개의 중소기업을 지원해 6만4,000명의 일자리를 창출시킬 계획이다.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는 이날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선 7기 경기도 중소기업 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은 공정한 경제환경 구축, 맞춤형 기업 육성, 4차 산업혁명 생태계 구축,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 등 4개 분야에 12개 핵심 과제를 설정해 모두 46개 단위사업을 추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는 우선 ‘공정한 경쟁환경 구축’ 차원에서 12개 사업 2,923억원을 투입해 중소기업의 성장 걸림돌을 해소하고, 정책금융 지원 확대와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도는 이를 위해 중소기업 성장을 가로막는 법령·제도를 발굴·개선하고, 소규모 노후산단을 개선하는 ‘YES산단 육성사업’을 지자체 최초로 도입한다.

또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R&D지원, 대형유통망 구매상담회, 부품국산화 사업, 성과공유제 등을 통해 대기업-중소기업 간의 동반성장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1조8,0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외에 실패한 기업이 재기할 수 있도록 정책금융을 확대 지원하고, 전국 최초로 신용 6등급 이하 영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000억원 규모의 특별보증도 공급한다.

맞춤형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혁신 스타트업 육성, 판로촉진 지원, 기술개발 지원, 강소기업 육성 등 22개 사업에 3,382억원을 투자한다.


기술혁신 청년 창업가에 대한 지원은 물론 온라인 창업 플랫폼, 스타트업랩, 메이커스페이스, Station-G 등 각종 창업 인프라를 구축해 혁신 스타트업이 성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관련기사



국내외 판로개척을 위해 공유경제 플랫폼, G-FAIR·경기국제보트쇼 등 특화 분야 전시회, 통상촉진단 파견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올해 하반기에 뷰티·패션의류·섬유는 물론 가구산업의 트렌드를 가늠해 볼 수 있는 통합 전시회를 열어 특화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기술개발이 필요한 중소기업에는 기술닥터,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지식재산 창출 및 사업화 등을 지원하고, 작지만 강한 ‘강소기업’으로의 성장을 돕고자 유망중소기업·수출 프론티어 등 각종 인증 지원사업, 스타기업 육성, 글로벌 히트상품 창출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4차 산업혁명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6개 사업에 1,564억원을 투입한다.

제2판교테크노밸리에 자율주행 실증단지를 운영하고 드론·AI·로봇 등 미래 핵심산업 기술개발에 힘써 신기술 신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안산 등 서해안 제조 혁신벨트, 수원 광교 등 중남부 연구 혁신단지 등 지역 특성을 고려한 혁신 클러스터를 육성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산·학·연 협력도 강화한다.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 차원에서 총 1,197억원 들여 6개 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의 대표 특화산업인 섬유산업, 가구산업, 뷰티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고부가가치화를 꾀할 방침이다. 국가 기간산업의 근간인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 뿌리산업의 진흥도 도모한다.

남북 경제협력의 상징인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판로개척, 애로사항 등을 지원해 개성공단 재가동과 남북경협 활성화에 대비한다. 도는 행정2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고 경제노동실장을 부본부장으로 한 ‘경기도 기업지원 대책본부’를 구성해 경제 분야 전 부서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장기적·체계적·종합적 지원이 이뤄지도록 추진체계를 정비할 계획이다.

이화순 부지사는 “경기도는 국내 중소기업 25%(약 13만 개)가 있는 국가 경제의 중심지이지만, 최근 국제적 경기침체, 내수부진, 기술경쟁심화 등 어려운 경제여건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이제는 대-중소기업 간 수익격차 해소, 경영 애로 해소, 기술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중소기업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추진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이번 종합대책을 통해 중소기업의 안정적 창업과 성장을 도모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