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北美, 미군 유해 발굴 공식협상 날짜·장소 협의 중

1차 이어 2차 정상회담서도 의제로 논의

1950년 운산전투에서 전사한 찰스 H. 맥대니얼 상사의 인식표./ 연합뉴스1950년 운산전투에서 전사한 찰스 H. 맥대니얼 상사의 인식표./ 연합뉴스



미국 국방부가 북한 군당국과 6·25전쟁 때 실종된 미군 유해 발굴을 위해 공식협상 날짜와 장소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찰스 프리처드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 대변인은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를 통해 “그동안 북한 인민군 측과 의사소통을 해왔으나 공식협상 날짜와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미군 유해 발굴과 관련한 북미 간 의사소통 내용은 매일 백악관에 보고하고 있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주 열리는 제2차 북미정상회담 전에 최신 정보를 보고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북미 군 당국은 그간 서신과 문서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유해 추가 발굴을 위해 협의해왔다. 북한 지역 내 미군 유해의 발굴·송환 문제는 지난해 제1차 북미정상회담에 이어 이달 27∼28일 열릴 제2차 북미정상회담에서도 거론될 예정이다. 앞서 ‘한국전쟁과 냉전시대 전쟁포로와 실종자 가족연합회’는 “DPAA 관계자로부터 북미 정상이 두 번째 회담에서도 유해 송환 문제를 의제로 다룰 것이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언급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은 1차 회담에서 채택한 공동성명 제4항에 ‘신원이 이미 확인된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는 것을 포함해 전쟁포로, 전쟁실종자들의 유해 수습을 약속한다’는 항목을 명시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지난해 8월 미군 유해 55구를 미국으로 보냈지만, 이후 추가적인 유해 발굴·송환은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북한에 남아있는 미군 유해는 5,300여 구로 추정된다.
/변문우인턴기자 bmw1017@sedaily.com

변문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