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르노그룹 부회장, 부산공장 임단협 해결 방안 모색 당부

르노 그룹의 제조·공급 총괄을 맡고 있는 호세 빈센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이 21일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방문해 간담회를 열고 임단협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이해를 구했다./사진제공=르노삼성자동차르노 그룹의 제조·공급 총괄을 맡고 있는 호세 빈센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이 21일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방문해 간담회를 열고 임단협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이해를 구했다./사진제공=르노삼성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는 르노 그룹의 제조·공급 총괄을 맡고 있는 호세 빈센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이 지난 21일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방문해 생산 현장을 점검하고 조속한 임단협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고 22일 밝혔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전날인 20일 오후 인천공항에서 부산으로 이동해 21일 오전 8시부터 10시간 가량 부산공장에 머물며 생산 현장의 주요 사항들을 점검했다. 특히 부산공장 내 조립, 차체, 도장, 파워트레인 등 각 공장의 세부공정 별 현장 책임자와 중간 관리자들과의 간담회를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했다. 특히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르노삼성자동차 2018년 임단협 교섭 지연과 연이은 부분 파업으로 인해 회사가 직면한 상황을 설명하고 현장 목소리를 듣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이 자리에서 르노 그룹을 대표하는 입장에서 최대한 빠른 시일 내 임단협을 마무리하고 부산공장의 미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해와 협조를 구했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세계 자동차 시장은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가장 어려운 시장 상황을 맞이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전 세계 모든 자동차 공장들은 신규 차종 배정을 통한 물량 확보를 위해 치열한 생존 경쟁을 하고 있다”며 “특히 부산공장처럼 전체 생산 물량 중 수출 비중이 60% 이상을 차지하는 공장들은 수출 물량 확보 여부가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어 “현재 부산공장의 시간 당 생산비용은 이미 르노 그룹 내 공장 중 최고 수준에 도달해 있는데 이는 생산비용은 높지만 생산성 또한 높았기에 유지될 수 있었다”며 “그러나 여기서 부산공장의 생산비용이 더 올라간다면 미래 차종 및 생산 물량 배정 경쟁에서 부산공장은 경쟁력을 상실할 것”이라 강조했다.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이 과정에서 스페인 바야돌리드 공장을 사례로 꼽았다. 그는 “바야돌리드 공장은 2002년 29만대에 가까운 연간 생산량을 보이다가 2005년 들어 생산 차종의 판매 부진과 2009년 이후 유럽 및 스페인 경제 위기가 맞물려 1,300명의 임직원에 대한 희망 퇴직을 실시하는 등 경영 위기를 겪었다”며 “당시 바야돌리드 공장 직원들도 많은 파업을 진행했지만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고 2009년 3년간 임금 동결을 골자로 하는 노사 합의에서 변화가 시작, 현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생산성이 좋은 공장으로 거듭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은 “조속한 공장의 정상화를 통해 르노삼성자동차와 르노그룹이 협력업체들과 함께 한국자동차산업과 부산 경제 발전에 앞으로도 계속 기여 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이번 임단협을 결론짓기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드 로스 모조스 부회장이 부산공장을 방문한 21일 오후 2시부터 2018 임단협에 대한 16차 본교섭이 한 시간 가량 진행됐으나 노사간 구체적인 합의점을 찾지는 못 했다.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는 22일에도 주간조와 야간조 각각 4시간 부분 파업 진행을 예고했으며 22일 부분 파업 종료 기준 르노삼성차 노조의 총 누적 파업 시간은 144시간(38차례)에 다다를 예정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