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새학기 대학가 불법복제 집중단속…"구매한 책 파일 공유도 형사처벌"

"제본 의뢰도 형사처벌…저작권자 민사소송 위험"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3월을 대학교재 불법복제 행위 집중단속 기간으로 정하고, 문체부 저작권 특별사법경찰과 저작권보호원 현장조사팀 등 50여 명 규모의 특별단속반을 구성해 권역별 단속을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대학가 교재 불법복제 집중단속 포스터/문화체육관광부 제공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3월을 대학교재 불법복제 행위 집중단속 기간으로 정하고, 문체부 저작권 특별사법경찰과 저작권보호원 현장조사팀 등 50여 명 규모의 특별단속반을 구성해 권역별 단속을 실시한다고 25일 밝혔다. 사진은 대학가 교재 불법복제 집중단속 포스터/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정부가 새 학기를 맞아 전국 대학가 불법복제 근절을 위한 집중단속에 나선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저작권보호원은 3월을 대학교재 불법복제 행위 집중단속 기간으로 정하고, 문체부 저작권 특별사법경찰과 저작권보호원 현장조사팀 등 50여 명 규모의 특별단속반을 구성해 권역별 단속을 실시하겠다고 25일 밝혔다. 이들은 대학가 주변 복사 업소를 불시 점검하는 방식 위주로 단속하며, 불법 복제물 전자파일 유통에 관여하는 책 스캔 업소와 유포자도 적발해 엄정 처벌한다. 특히 집중단속 기간 대학교재 불법복제 신고 전화도 운영해 침해 행위에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사)학술출판협회 등 관련 단체와 함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저작권 침해 예방을 위한 홍보캠페인도 펼친다. 학술출판협회는 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협력해 집중단속 기간 전국 450개 대학에 불법복제 근절 현수막과 포스터를 부착하고, 전국 50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불법복제 근절 안내문을 배포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작년 하반기 실시한 ‘대학교재 불법복제 이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 중 절반 이상인 51.6%가 불법복제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으며, 1학기당 필요한 교재 8권 중 2권을 불법적인 경로를 통해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법 복제물 주요 구매 경로는 PDF 등 전자파일(47%), 전체 제본(32%), 부분 복사(26%) 순이며, 강의 때 전자기기를 활용하는 대학생들(72.2%)이 늘어남에 따라 불법 전자파일의 유통 비중도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문체부 관계자는 “구매한 책을 전자파일 형태로 복제해 공유하는 행위나 대학교재 복사와 제본을 의뢰하는 행위도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고, 특히 저작권자로부터 민사소송까지 당할 수 있다”며 학생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특별단속반은 지난해 출판 불법 복제물 총 302건, 1만5,545점을 대학가에서 적발했으며 2,275건의 계도·예방조치 내린 바 있다. /노진표 인턴기자 jproh93@sedaily.com

노진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