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박정호 SKT 사장 "超혁신으로 ICT 한계 넘을 것"

유료방송 가입자 2,700만 확보

글로벌 사업자와 싸울 기반 마련

콘텐츠 강화로 경쟁력 높일 것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2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사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2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한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사업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유료방송시장에서 1~3위를 싸우는 것보다 더욱 큰 스케일을 봐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25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19’에 참석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고 5세대(5G) 통신 시대를 맞아 ‘초(超)혁신’을 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5G 특성을 묘사하는 단어를 고민하다 ‘초(超)’라는 한자에 주목하게 됐다”며 “5G 시대는 초연결·초고속·초저지연 등 기존 한계를 뛰어넘는 현실을 구현하기 때문에 ‘초(超)’ 생활의 시작으로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스포츠 중계와 데이터가 융합하는 방식의 서비스다. 증강현실(AR)글래스를 착용하고 스포츠 중계를 보면서 경기와 관련 실시간 데이터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가 1~2년 내 출시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AR 장비개발사 매직리프, 게임업체 나이언틱 등 글로벌 사업자와 독점 계약을 준비 중이다. 박 사장은 “매직리프와 AR글래스 독점 도입을 추진해 5G 생태계를 이끌어나갈 것”이라며 “‘포켓몬고’ 등 AR 게임으로 유명한 나이언틱과도 플랫폼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사장이 더욱 크게 그리는 초(超)혁신은 미디어 부문이다. 미디어 분야는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케이블TV업계 1위 CJ헬로를 인수한 데 이어 SK텔레콤도 자회사 SK브로드밴드와 케이블TV 티브로드의 합병을 추진 중이다. 또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서비스 ‘넷플릭스’의 공습으로 국내 OTT업계도 합병을 통한 덩치 키우기가 이뤄지고 있다. SK브로드밴드의 OTT 옥수수는 지상파 3사의 OTT 푹(POOQ)과 연내 통합될 예정이다. 박 사장은 “통합 옥수수의 가입고객 1,960만과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 고객 760만 등 총 2,700만 가입자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며 “글로벌 사업자들과 경쟁할 수 있는 최소한의 규모는 갖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박 사장은 다만 현시점에서 유료방송을 추가로 인수할 의향은 없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현재 중요한 것은 유료방송시장 2위를 지키느냐, 3위로 떨어지느냐가 아니다”라며 “‘SK브로드밴드’와 ‘티브로드’라는 이질적 집단을 잘 운영해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국내 시장에서 1~2위 싸우는 것보다 더욱 큰 스케일을 봐야 한다”며 “궁극적인 목표는 콘텐츠를 제작해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넷플릭스의 성공 방식을 배우겠다는 의미다. 그는 “콘텐츠 사업이 나중에 반도체산업처럼 되기를 바란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중국 무술영화처럼 잠시 인기를 끌다 사라져서는 안 되며 K-푸드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박 사장은 스마트오피스·보안·양자암호·커머스 등 주요 사업분야도 ‘초(超)사업’ 방식으로 옮겨가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최근 서울 종로구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AI) 카메라를 활용한 안면자동인식 출입시스템 등 스마트오피스를 선보였다. 또 5G통신과 ADT캡스의 물리적 보안 기술을 결합한 융합보안, 주문배송 시스템을 고도화한 이커머스 등의 사업도 진행 중이다. 박 사장은 “5G는 제조·유통·금융 등 산업 전 영역으로 확산 중이며 주요 산업을 ‘스마트 인더스트리’로 탈바꿈시킬 것”이라며 “초(超)사업을 통해 기존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혁신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박 사장은 다양한 해외 사업자와 협력하는 ‘초(超)글로벌 사업’ 방식도 강조했다. SK텔레콤은 최근 1억명이 넘는 동남아시아 가입자를 보유한 세계 3위 차량공유업체 ‘그랩’과 조인트벤처를 설립했다. 또 글로벌 미디어·엔터테인먼트 그룹 ‘컴캐스트’와 함께 글로벌 e스포츠 산업에도 진출하기로 했다. 그는 “SK텔레콤의 정보통신기술(ICT) 역량에 대한 외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전방위 글로벌 협력을 통해 ICT 생태계 주역으로 거듭나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바르셀로나=강동효기자 kdhyo@sedaily.com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