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여자선수 37.7% "프로입문 후 성폭력 피해 경험"

문체부, 5대 프로스포츠 종사자 실태조사

언어적·시각적 성희롱이 최다

가해자는 코치진·선배선수 순

쇼트트랙 국가대표 심석희가 지난해 12월 17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에서 열린 조재범 전 국가대표팀 코치의 항소심 2차 공판에 출석해 폭행 피해 사실 진술을 마치고 법원을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쇼트트랙 국가대표 심석희가 지난해 12월 17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지방법원에서 열린 조재범 전 국가대표팀 코치의 항소심 2차 공판에 출석해 폭행 피해 사실 진술을 마치고 법원을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내 5대 프로스포츠 여성 선수 중 37.7%가 입단 이후 성희롱을 비롯한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프로스포츠협회와 함께 지난해 5∼12월에 걸쳐 축구·야구·농구·배구·골프 등 5대 프로스포츠 종사자 927명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한 성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선수와 코치진, 직원을 포함해 프로스포츠 종사자 중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14.2%였다. 선수로만 한정하면 여성의 37.3%, 남성의 5.8%가 성폭력을 당한 적이 있었다. 특히 최근 1년간 이러한 피해를 경험했다는 여자 선수는 응답자의 11.3%에 달했다.

관련기사



선수를 포함한 전체 응답자의 성폭력 피해 유형은 언어적·시각적·기타 성희롱 12.7%(여성 33.0%, 남성 5.1%), 육체적 성희롱 4.3%(여성 12.9%, 남성 1.0%), 온라인 성범죄 1.1%(여성 4.0%, 남성 0%) 등이었다. 이들 피해자 중 내부 또는 외부 기관에 성폭력 피해 사실을 신고했다는 응답은 4.4%에 불과했다. 69.5%는 주위에조차 알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가해자는 선수의 경우 코칭스태프(35.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선배 선수(34.4%)였다. 가해 장소는 회식자리(50.2%)와 훈련장(46.1%)이 가장 많았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각 프로연맹에 대해 가해자 영구제명 등 규정 개정과 성폭력 은폐를 시도한 구단·지도자에 대한 처벌 규정 신설을 권고했다. 또 각 연맹에 신고센터와는 별개로 성폭력 피해자 지원센터를 설립하게 하고 선수와 코치진에 대한 성폭력 예방교육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