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강경화 "2차 북미정상회담, 비핵화·영구적 평화 이정표 되길"

“실재적·구체적 결과 기대…완전한 비핵화까지 안보리 결의 준수”

인권이사회에서는 김복동 할머니 별세 알려…“위안부 생존자 이제 23명 남았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사무국에서 열린 인권이사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5일(현지시간) 유엔 제네바사무국에서 열린 인권이사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이틀 앞으로 다가온 북미 정상회담을 두고 “실재적이고 구체적인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강 장관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유엔사무국(UNOG)에서 열린 군축회의(CD) 고위급 회기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면서 이번 정상회담이 비핵화와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를 향한 과정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이어 한국 정부가 그동안 북핵을 향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에 따랐다면서 완전하고도 불가역적인 비핵화가 이뤄졌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남북 관계에서 이뤄지는 협력에도 예외없이 “굳건하게 안보리 제재를 준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강 장관은 지난 한 해 한반도에서 전 세계 안보에 긍정적인 소식들이 전해졌다고 언급했다. 이어 작년 군축회의에선 ‘조심스러운 희망’을 피력했지만, 올해는 북한에 대해 ‘발전과 기대’라는 표현을 쓰고 싶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강 장관은 각국 대표단에게 남북한이 긴장 완화와 우발적 충돌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일부 전방 초소를 폐쇄하고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했으며 공동경비구역(JSA)엔 비무장까지 시행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해왔고 핵ㆍ미사일 시설을 일부 폐쇄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시사해왔다는 점도 전했다.

오후에 강 장관은 인권이사회(UNHRC) 총회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했다. 강 장관은 “제2차 세계대전 위안부 피해 생존자 중 한 분이자 치열한 인권옹호자였던 김복동 할머니가 슬프게도 93세를 일기로 지난 1월 세상을 떠났다”며 “이제 23명의 생존자만이 남아 있고, 고령인 그들이 평생의 고통을 완전히 치유받지 못하고 떠나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슬프다”고 밝혔다. 이어 “전쟁 수단으로 벌어지는 성폭력을 철폐하기까지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사실과 함께 피해자, 생존자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이들이 결코 잊혀서는 안 된다”고 역설했다. 강 장관은 작년 인권이사회에서도 분쟁 지역의 성폭력 문제를 언급한 바 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