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미세먼지 배출 돕는 생강·칡·오미자차 드세요"

커피·녹차 등 카페인 성분은

호흡기 점막 마르게 할 수도

콘택트렌즈보다 안경이 좋아

생강차(왼쪽)와 칡차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을 낮추고 호흡기 점막을 촉촉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생강차(왼쪽)와 칡차는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을 낮추고 호흡기 점막을 촉촉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연휴 이틀째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입자 크기가 각각 0.0025㎜, 0.01㎜ 미만인 초미세먼지와 미세먼지는 눈·코를 자극하고 안구건조증을 심화시킨다. 기관지에서 잘 걸러지지 않고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들어가 염증 등을 일으킨다.

가장 즉각적으로 영향을 받는 기관은 호흡기다. 목이 따갑고 기침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외출을 자제하거나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KF’(Korea Filter) 인증을 받은 보건용 마스크를 끼는 것도 한계가 있다.


◇물 자주 마시고 외출 후 가글링·코 세척=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방어능력이 떨어진다. 가장 손쉬운 대응법은 물을 소량씩 자주 마시는 것이다. 기관지 점막의 건조함을 줄여주고 유해 노폐물을 빨리 배출할 수 있게 도와준다. 가습기 등을 이용해 적정 실내습도인 40~60%를 유지하고 온도는 실내온도 섭씨 20~22도를 유지한다. 공기청정기도 함께 사용하는 게 좋다.

외출 후 얼굴·손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가글링이나 구강·코 세척으로 피부·입안의 미세먼지를 없애준다. 외투에는 각종 먼지가 붙어있다. 자주 털어주고 빨아준다.

◇호흡기에 좋은 차, 신선한 과일·채소 유용= 호흡기 점막과 면역력 증강에 좋은 생강차·칡차를 마시면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증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김민희 강동경희대병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교수는 “따뜻한 성질의 생강은 신진대사·면역력을 활성화하고 염증을 낮춰준다. 칡차는 코를 촉촉하게 해주고 열을 식혀준다”며 “둘 다 비염에도 좋다”고 조언했다. 칡차가 쓰게 느껴지면 호흡기에 좋은 배와 꿀을 넣어 마시면 맛도 영양도 올라간다. 식물성 에스트로겐도 풍부해 50대 이후 여성에게도 좋다.

한선영 왕십리 함소아한의원 원장은 “귤 등 신선한 과일·채소를 자주 먹으면 수분은 물론 비타민·미네랄 보충으로 피부는 물론 면역력 증진에도 좋다”며 “오미자차·맥문동차 등을 엷게 우려 마시면 몸속 수분(체액에 해당하는 진액)을 보충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커피·녹차는 항산화제로서의 역할도 있지만 카페인의 이뇨작용으로 점막을 더 마르게 할 수 있다.

보령제약의 ‘용각산쿨’과 ‘용각산’은 호흡기 점막의 점액 분비와 섬모운동을 활성화한다.보령제약의 ‘용각산쿨’과 ‘용각산’은 호흡기 점막의 점액 분비와 섬모운동을 활성화한다.


◇‘용각산쿨’도 기관지 이물질 배출 촉진= 기관지 점액(뮤신) 분비와 섬모운동을 촉진하는 ‘용각산쿨’ 등 생약 성분의 일반의약품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폐·기관지를 다스리는데 널리 쓰이는 한약재인 도라지(길경)가 주된 성분이다. 길경은 목이 붓는 증상과 기침을 완화하고 담을 삭히며 화농질환의 고름을 빼주는 약효가 있다. 1회용 스틱 포장이어서 휴대도 간편하다. 물 없이 복용해야 한다.


호흡기에 좋은 마사지도 있다. 김민희 교수는 “손을 20~30초 정도 비벼서 코 옆(영향혈)을 문질러주면 코를 따뜻하게 해 미세먼지로 인한 코 증상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며 “뒷목과 머리털이 나기 시작하는 양쪽 부위(풍지혈)를 자극해주면 목 통증·코막힘을 완화하고 머리·뒷목을 시원하게 해준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비염 있으면 분무형 흡입제로 적극 치료를=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으로 코·기관지 점막 등이 염증으로 부어 있으면 미세먼지 등을 걸러내고 녹여 몸 밖으로 배출하는 데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만성 호흡기 질환자나 비염·축농증 등의 코 질환자는 적극적인 치료와 증상 악화 예방책이 필요하다.

알레르기 비염은 코점막이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배설물, 동물의 비듬 같은 알레르겐을 감지한 뒤 과도한 면역·염증 반응으로 생긴다. 코점막이 빨갛게 부어올라 코가 막히고 맑은 콧물이 많이 만들어지며 재채기가 끊이지 않는다. 특히 아침에 심하다. 코 옆쪽 눈 가려움증이나 충혈, 축농증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인구의 13%(634만여명)가 진료를 받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환자 10명 중 3명은 12세 이하 어린이다. 증상이 심한데도 염증 치료를 하지 않으면 숙면을 취하지 못해 만성피로, 코골이·수면무호흡증, 학습장애, 성장저하, 우울증 등 정서장애 위험이 높아진다.

증상 완화에는 감기약에도 들어가는 항히스타민제가 효과적이다. 하지만 근본적 치료를 위해서는 염증을 잡아야 한다. 가장 안전하고 효과가 좋은 것이 코안에 뿌리는 스테로이드 분무제다. 권혁수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은 환절기 등에 수 주 이상씩 지속되므로 스테로이드 분무제를 매일같이 사용하면 여러 증상을 개선하고 축농증 등을 예방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미세먼지, 안구건조증·결막염 악화시켜= 눈은 점막이 밖으로 노출돼 외부자극에 민감하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외출할 경우 안경이나 선글라스를 끼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를 끼면 눈이 건조해져 충혈·가려움증 등 부작용이 심해질 수 있다. 눈을 비비다 보면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바이러스 침투로 안질환이 나타나기 쉽다. 눈이 가려운 경우 흐르는 물에 눈을 씻어주거나 인공눈물을 넣어주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미세먼지는 안구건조증과 결막염을 악화시킨다. 인공눈물과 안구세척제는 건조함을 줄여주거나 눈에 들어간 이물질 제거에 유용하다. 하지만 과도한 안구세척제 사용은 눈 표면의 정상 면역을 담당하는 물질들까지 씻어내 눈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중금속·바이러스·세균 등이 뒤섞여 있는 미세먼지가 지속적으로 결막에 달라붙으면 알레르기 반응으로 염증이 생기고 충혈·눈곱·간지러움·이물감 등이 나타난다.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다. 안과에서 처방하는 점안제를 사용하면 보통 1~2주 안에 증상이 완화되지만 방치할 경우 각막염과 시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진료인원 중 10세 미만(82만여명)이 20%로 가장 많고 나머지는 10대 미만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10~13%대의 고른 분포를 보인다. 박종운 일산병원 안과 교수는 “어린이의 경우 손을 깨끗하게 하지 않은 채 눈을 비비거나 만지는 등 손 위생의 영향이 크다”며 철저한 손 씻기를 당부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