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통사고 줄지 않는데 사망자는 3천명대로 뚝↓…그 이유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42년 만에 처음으로 3,000명대로 떨어졌다.

이는 전 좌석 안전띠 착용이 의무화되고 음주운전 처벌을 강화하는 ‘윤창호법’이 국회 통과되며 음주운전 근절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높아진 것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3일 경찰청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8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1년 전(4,185명)보다 9.7% 감소한 3,781명으로 6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처럼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000명대로 감소한 것은 1976년(3,860명) 이후 처음이다.

또 음주운전 사망자는 346명으로 전년보다 21.2%(93명) 줄었다. 또 13세 미만 어린이 사망자(37명)도 37%(20명) 감소했다.

노인 운전자에 의한 사망자는 843명으로 전년 대비 0.6% 줄었다.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보행 사망자의 경우 1,478명으로 지난 해보다 11.2%(188명) 감소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우리나라의 보행 사망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9.7%)의 2배 수준으로 전체 30개국 중 꼴찌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교통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광주광역시였다. 1년 전보다 35.9%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부산(-19.7%), 대구(18.4%), 전북(-16.7%) 순이었다.

반면 울산(17.5%), 인천(10.3%), 대전(4.9%) 등은 교통사고 사망자가 늘었다.

또 고속도로 사망자는 252명으로 전년보다 1.6%(4명) 증가했다.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노선은 경부선(41명)이었고, 중부내륙선(36명), 서해안선(33명)이 뒤를 이었다.

한편 교통사고 전체 사망자 수는 줄었지만 교통사고 건수는 약간 늘었다. 2018년도 교통사고 건수는 21만 7,148건으로 전년 대비 0.4%(813건) 증가했고 부상자는 32만 3,036명으로 집계됐다.

경찰은 전 좌석 안전띠 의무화, 음주사고를 낸 운전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윤창호법 시행 등 제도 변화가 뒤따른 게 교통사고 사망자를 줄이는 데 톡톡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