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황교안號 여硏 원장에 김세연…통합 신호탄?

주요당직·최고위엔 ‘친박’ 대거 포진

친박-비박 갈등 다시 불거질 우려도

지난달 27일 자유한국당 대표에 선출된 황교안 대표가 당직 인선에 본격 돌입하면서 ‘황교안호(號)’의 라인업이 윤곽을 드러냈다.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 원장에는 3선의 김세연 의원, 황 대표를 보좌할 비서실장에는 재선 이헌승 의원이 유력시되고 있다.

한국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3일 “황 대표가 당의 정책 역량과 대표 보좌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김·이 의원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서울경제신문과의 통화에서 “아직 당으로부터 공식 통보를 받지는 않았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관련 사실을 부인하지는 않았다.


김 의원 발탁 소식이 전해지자 당 안팎에서는 황교안호가 전면에 내세운 ‘통합’의 신호탄을 쏜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부산 금정구에서 내리 3선을 지낸 김 의원은 개혁 성향의 소장파 의원으로 분류되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탈당해 바른정당에 합류했다 복당했다. 한국당의 한 의원은 “당의 싱크탱크 수장에 복당파 의원을 앉히는 것은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사무총장과 당 대표 비서실장 등 당의 다른 요직과 최고위원회 위원 과반을 친박(친박근혜) 인사가 맡으면서 친박·비박(비박근혜) 계파 갈등이 다시 고개를 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게 흘러나온다.

대표 비서실장, 당 수석대변인, 당 전략부총장에 임명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의원, 민경욱 의원, 추경호 의원 등은 모두 친박 성향의 의원이다. 황 대표가 지명직 최고위원까지 친박을 선택할 경우 최고위원회 위원의 과반이 친박이 되게 된다. 한국당 최고위원회는 황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정용기 정책위의장, 조경태·정미경·김순례·김광림 등 선출직 최고위원, 당 대표 지명직 최고위원, 신보라 청년최고위원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일각에서는 통합을 강조하는 황 대표가 이 같은 우려를 의식해 비박인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게 지명직 최고위원 자리를 제안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