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열차 타고 평양가자"…베트남, 북한 관광 활성화 움직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이 지난 1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에서 정상회담장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응우옌 푸 쫑 국가주석이 지난 1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주석궁에서 정상회담장에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로 베트남에서 북한 관광이 활성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4일 뚜오이체와 VN익스프레스 등 현지 언론은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과 베트남의 관계가 개선돼 베트남인들의 북한 관광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7~28일 2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이달 1~2일 베트남을 공식 친선방문했다. 55년만의 북한 최고지도자의 베트남 방문은 사실상 국빈 방문과 같은 수준이라는 게 베트남 당국의 설명이다.


양국의 관계는 지난 2017년 2월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베트남 국적자인 도안 티 흐엉(31)이 북한의 사주를 받아 김 위원장의 이복형제인 김정남을 암살한 혐의로 체포되면서 경색된 바 있으나, 이번 방문을 통해 개선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베트남 현지 여행사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방문으로 양국의 관계가 개선돼 많은 베트남 여행객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현지 여행사 ‘베엣트래블’은 올해 11월까지 약 1,000명의 베트남 관광객들이 북한을 관광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노이레드투어’는 “3월 북한 관광상품이 매진됐다”며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으로 떠나는 베트남 관광객이 배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이공투어리스트’는 올해 북한으로 매월 15명과 20명으로 구성된 단체 관광객을 보낼 계획이라고 전했다.

북한-베트남 관광은 통상적으로 5~11일 정도가 소요되며, 현재 양국을 오가는 직항 항공기가 없어 중국 베이징을 경유해야 한다. 비용은 3,200만∼5,300만 베트남동(한화 약 155만∼257만원) 수준이다.

여행사들은 북한 관광 상품을 두고 마케팅 경쟁을 시작했다. 하노이의 한 여행사는 김 위원장이 베트남을 방문한 방식처럼 열차를 타고 북한을 관광할 방법을 검토중이다. 일부 여행사들은 무료 북한 관광 상품을 내걸고 북한과 미국 문화에 대한 콘테스트를 개최하거나, 북한 관광 상품을 300만~600만동(한화 약 15~30만원)가량 할인해 주는 이벤트를 실시하고 있다./신화 인턴기자 hbshin1207@sedaily.com

신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