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시, 무선인식 음식물쓰레기 감량기 확대 보급

지난해 3대 시범사업 이후 올해 16대 확대 보급 예정

수거처리체계 단순화 등 개선 효과 기대

부산시는 지역 아파트에 무선인식(RFID)을 기반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생물학적 재활용처리시설을 확대 보급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시설은 입주민이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에 반도체 칩을 내장한 라벨이나 카드 등을 대고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면 무게를 자동으로 계량해 배출량만큼 수수료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기계로 들어가면 기계 안의 미생물이 음식물을 발효·소멸시키기 때문에 남은 잔재물을 퇴비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이 때문에 배출단계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소멸시켜 악취를 줄이고 수거운반단계에서는 쓰레기 수거 대행업체에 지급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결국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의 전체 처리단계가 생략되는 셈으로 처리시설 대당 월 65만 원의 처리비용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관련기사



지난해 부산시가 시범사업을 벌인 사하구의 한 아파트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 48톤을 생물학적 재활용처리시설 3대(100kg/일)로 처리한 결과 평균 81%가 감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주민들의 악취, 소음, 위생 등에 대한 민원도 없었다.

부산시는 이 같은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2022년까지 92억 원을 들여 음식물 처리시설 280대(대당 3,300만 원)을 설치하기로 했다. 의무관리대상인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5%인 총 520여 개 아파트 단지가 대상이다. 우선 올해는 16대를 보급할 계획으로 현재 구·군을 대상으로 사업 참여 수요조사를 하고 있다. 오는 5월까지 대상 아파트가 선정되면 6월께 부산시가 각 구·군으로 보조금을 교부하고 구·군에서는 제작업체와 계약, 설치 등 처리시설을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생물학적 재활용 처리시설 보급사업으로 각 구·군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운반 및 처리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실질적인 음식물 쓰레기 배출감량으로 이어져 자원재활용 효과성을 높이고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구·군 재활용 공공선별장 확충, 소규모 공동주택 분리수거대 보급, 공공장소 IoT 분리배출함 설치 등 다양한 재활용 시책을 구·군과 함께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