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결렬 위기로 내몰리자 다급해진 北…CNN "삐걱거렸던 하노이 회담"

북한, 초반에는 여유로웠지만…결렬 위기 내몰리자 분주해진 것으로 알려져

회담 하루 전날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에 외면당하기도

조선중앙TV가 공개한 북미 정상 ‘하노이 작별’ 장면/연합뉴스조선중앙TV가 공개한 북미 정상 ‘하노이 작별’ 장면/연합뉴스



미국 CNN방송이 ‘모욕과 마지막 시도’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하노이 회담 당시 북한의 마지막 시도를 공개했다.

CNN은 6일(현지시간) 제2차 북미 정상회담에 정통한 미 정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해당 기사를 실었다. 보도에 따르면 정상회담 이틀째인 지난달 28일 협상이 끝날 무렵 한 북한 관리가 미국 대표단 쪽으로 달려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장을 벗어나자 북한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메시지를 미 대표단에 황급히 전달한 것이다. CNN에 따르면 이는 영변 핵시설 폐기를 대가로 한 제재 완화에 관해 합의를 성사하기 위한 북한의 마지막 시도였다. 미국과 북한은 회담 당시 영변 핵시설에 대한 ‘공동의 정의’를 놓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지속해서 영변 핵시설에 대해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했지만 김 위원장의 마지막 메시지는 미국의 정의에 명확히 공감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에 미국은 분명히 할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대답은 “그곳에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답변은 미 대표단에게 효과가 없었고 이들은 협상 재개를 원하지 않았다. 몇 시간 후 하노이를 출국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그(영변)보다 더 많은 것을 얻어야 했다”며 “왜냐하면 여러분(기자들)이 말한 적이 없고, 쓴 적이 없으나, 우리가 발견한 다른 것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북한은 핵시설 폐기와 맞바꿀 제재 해제의 범위와 속도에 관해 여전히 이견을 좁히진 못했지만, 몇몇 미국 관리들은 김 위원장의 마지막 제안을 협상 타결에 대한 김 위원장의 의지로 보고 있다.


한편 협상 타결을 위해 전력을 쏟았던 막판과 달리 회담 초기 북한은 여유를 부린 것으로 보인다. 김영철 부위원장과 회담하길 희망한 폼페이오 장관을 바람 맞힌 것이다. 수차례의 실무협상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실행조치와 상응 조치를 둘러싼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자,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달 26일 김 부위원장에게 고위급 회담을 제안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회담 전 북한의 협상 타결 의지를 가늠하길 원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김 부위원장은 만남을 거부했다. CNN은 “북한 당국자들이 미국 카운터파터를 바람 맞힌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라며 고위급에 대한 이런 모독은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의 전조였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폼페이오 장관이 겪은 모욕은 ‘변덕스러운 협상 스타일’이라는 북한의 외교 접근법을 잘 보여준다고 이 방송은 평가했다.

관련기사



보도에 따르면 사실 이번 하노이 회담은 그전부터 삐걱거리는 조짐을 보였다. 회담 전 북미 실무 대화는 거의 진전이 없었고, 북한 관리들은 여러 차례 ‘정상회담을 취소하겠다’고 협박하기까지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미 정부 고위 관리들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에 의구심을 품었고,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이 실무급 대화에서 제시된 북한의 기존입장을 뛰어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지 않는다면 협상장에서 떠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CNN은 “트럼프 대통령은 ‘개인적 외교’의 힘을 자신하며 김 위원장과 얼굴을 맞대면 합의를 촉구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고 보도했다. 더불어 미 당국자를 인용해 미 행정부가 다음 달 안으로 북한과 후속 실무회담을 개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북한이 아직 회담 시기와 장소를 확정하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신현주 인턴기자 apple2609@sedaily.com

신현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