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2023년 아리랑급 위성 자력발사" 올 우주개발에 5,800억 투입

차세대 중형위성4호 개발착수 등

2019년 시행계획 4개 안건 확정

우주부품시험센터 12월에 구축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제3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주재하며 우주개발 지원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이 6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제3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주재하며 우주개발 지원계획을 밝히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정부가 우주발사체 자립과 달탐사 준비, 인공위성 확대 등 우주개발 시행계획 6대 전략에 올해 총 5,813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전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제3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위원장 과기정통부 1차관)를 갖고 ‘2019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 등 4개 안건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1,780억원을 투입해 지난해 말 시험 발사한 75톤급 한국형발사체(누리호) 엔진 4개를 묶어 300톤급의 누리호 1단부를 제작하는 클러스터링을 시작하고 3단부인 7톤급 엔진의 인증모델 종합연소시험도 하기로 했다. 정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누리호를 2021년 완성해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2년간 시험비행을 거쳐 2023년부터 1.5톤 아리랑급 위성을 자력으로 쏘아올린다는 계획이다.

올해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개발 고도화·다양화’에는 3,122억원을 투입한다. 현재 개발 중인 정지궤도위성 1기, 저궤도 위성 5기에 더해 농림·산림 상황 관측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4호 개발을 신규 착수할 예정이다. 지난해 말 발사한 천리안2A호(기상)를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운용하고, 천리안 2B호(해양·환경)도 총조립·우주환경시험에 나서고 다목적실용위성(정밀감시) 6호도 총조립하고 7호의 상세설계에도 들어간다. 산업육성·공공수요 대응을 위한 차세대중형 1·2호 조립과 4호 개발 착수, 차세대소형 1호 운용, 2호 인증모델 제작 등도 추진한다.


정부는 올해 120억원 등 2025년까지 3,067억원을 투입, 500㎏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을 활용해 3호(우주과학·기술검증위성)·4호(농림위성)·5호(수자원위성)위성을 개발하기로 했다. 조낙현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장은 “하반기부터 천리안 2A호로 첨단 기상·해양·환경·재난재해·농림 위성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3~5호 위성은 산업체·민간 중심으로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성정보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접목해 위성정보 분석 서비스 산업도 키우기로 했다.

관련기사



우주부품시험센터를 오는 12월 구축해 기업의 우주부품 시험·평가를 지원하고, 위성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자급 우주부품의 국산화에도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소자급 우주부품은 위성 1기당 1,000종 10만개 이상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달탐사를 위해 올해 623억원을 들여 550㎏급 시험용 달 궤도선(선회 탐사)의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위성체의 진동·음향시험 등 본체 지상검증도 추진한다. 달 착륙선 핵심선행기술 개발도 추진하기로 했다. 정권 따라 갈지자 걸음을 걸어온 달탐사 계획은 지난해 2월 “달 궤도선을 도는 550㎏ 탐사선은 2020년 미국 스페이스X 발사체를 이용하고 이후 한국형발사체로 2030년까지 달 착륙선을 발사한다”고 확정한 바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달궤도 우주정거장(Gateway)에 산학연 참여 추진 등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에도 183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형위성항법시스템(KPS) 시각동기화 연구 등 선행연구를 추진하고 올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에도 들어간다. 우주물체 추적용 전자광학망원경과 인공우주물체 탐지용 광학카메라, 유성체감시네트워크 등 우주위험 감시·대응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은 “우주정책은 외교·안보·산업·표준 등이 복합돼 부처 간 소통과 협조가 중요하다”며 “우주개발을 강화하고 우주산업을 육성해 혁신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